삼성전자, 점유율 34.5% 1위 유지… SK하이닉스 13.5%로 순위 상승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국내 반도체 기업들이 순항 중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 시장 점유율이 늘어나 각각 1위와 3위에 올랐다.
25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해 3분기 낸드플래시 매출은 2분기 대비 16.5% 증가한 65억1000만달러(약 7조7423억원)로 집계됐다. 시장 점유율은 전분기 34%에서 0.5%포인트 오른 34.5%로 1위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매출 상승은 스마트폰 제조사의 낸드플래시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평균판매가격(ASP)은 전분기 대비 10% 상승했다. 반면 PC용은 주문자위탁생산업체(OEM) 수요 감소 등으로 전분기 대비 5% 증가하는 데 머물렀다.
같은 기간 SK하이닉스 낸드플래시 매출은 25억4500만달러(약 3조196억원)로 지난 분기보다 25.6% 늘었다. 시장 점유율은 2분기 12.3%에서 1.2%포인트 오른 13.5%를 기록했다. 순위도 4위에서 한 단계 상승한 3위였다.
SK하이닉스가 인수하는 인텔 낸드플래시 점유율은 1분기 7.5%, 2분기 6.7%에 이어 3분기에는 5.9%까지 떨어지는 등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인다.
현재 SK하이닉스는 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문 인수 관련 승인 심사대상 8개국 가운데 중국 당국의 승인을 기다리는 중이다. 인수 절차 완료 후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은 약 19%까지 오를 전망이다.
일본 키옥시아는 2분기보다 1.0%포인트 오른 점유율 19.3%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미국 웨스턴디지털과 마이크론이 각각 13.2%, 10.4% 점유율로 4~5위르르 차지했다.
트렌드포스측은 3분기 전 세계 낸드플래시 시장이 서버와 스마트폰 시장의 수요가 늘어나 전 분기보다 15.0% 증가한 188억7910만달러(약 22조4000억원)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4분기 전망에 대해 다소 어두운 전망을 내놨다. 낸드플래시 고정거래가격이 반도체 생산 차질과 고객사들의 재고 정리로 주문 감소가 예상돼 하락세 전환을 예측했다.
- 상반기 국내 M&A 30조원… 신사업 찾기 분주
- "3년간 240조원 신규 투자"…삼성전자 4만명 대규모 고용
- 인텔 낸드사업부 인수한 SK하이닉스… 현지 별도법인 신설추진
- 이달 메모리반도체 가격 일제히 올라… D램 고정가 7.89%↑
- 이재용 “아무도 가보지 않은 미래 개척 새로운 삼성 만들겠다”
- 국민권익위, 회원제와 다름없는 대중골프장 폭리 바로잡는다
- 대선 후보도 젠더 갈등? 서로 다른 관점의 성폭력
- “규제완화한다더니 또”… 반도체 지원 정책 공회전
- 이재용 혁신인사 임박…핵심 경영진은 '유임', 그 밑은 '확 물갈이'?
- SK 경영진 인사 키워드는 ‘복귀·안정’?
- SK하이닉스, 인텔 낸드사업 인수 최종난관 뚫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