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구진과 공동 개발한 전력 증폭기 소자 처음 공개
6G 송수신 관련 ‘가변 빔포밍’, ‘풀-듀플렉스’ 등 기술시연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22일부터 24일까지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참가해 6G 분야 기술을 선보였다.
LG전자는 이번 행사에서 6G 무선 송수신 관련 대표 연구·개발 성과물을 전시했다. 앞서 올해 8월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력 증폭기 소자를 국내에서 처음 공개했다.
그간 6G 테라헤르츠(THz)와 같은 초광대역은 짧은 주파수 도달거리와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 전력 손실 문제 등 전력 증폭기 개발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꼽혀왔다.
LG전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독일 연구진과 개발한 전력 증폭기 실험을 베를린에서 진행하고 6G THz 대역 실외 100m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했다. 국내 공개된 증폭기 소자는 6G 분야 대표 성과물인 셈이다.
이외에도 LG전자는 글로벌 무선통신 테스트 계측 장비 제조사인 키사이트와 함께 채널 변화와 수신기 위치에 따라 빔 방향을 바꾸는 ‘가변 빔포밍’ 기술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송·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풀-듀플렉스(FDR) 기술도 시연했다.
6G 이동통신은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 본격적인 상용화가 예상된다. LG전자는 6G 풀-듀플렉스 분야에서 기존 대비 2배의 주파수 전송 효율을 달성한 바 있고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기술력을 확보했다.
또한 2019년부터 카이스트와 LG·카이스트 6G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핵심기술 확보에 나섰다. 아울러 올 6월 미국통신산업협회(ATIS) 주관 ‘넥스트 G 얼라이언스’의 의장사로 선정되는 등 앞으로 6G 관련 핵심적인 역할을 맡게될 것으로 보인다.
김병훈 LG전자 최고기술경영자(CTO)는 “이번 행사에서 6G 기술 개발 성과를 공개하며 글로벌 선도 기술력을 입증했다”며 “국내외 6G 연구개발(R&D) 역량을 갖춘 연구기관, 업체들과 협력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글로벌 6G 기술 개발을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