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민수 기자] “올해는 ‘단계적 일상회복’을 넘어 포스트 코로나 시대로 이어지는 역사적인 변곡점의 한 해가 될 것이다. 과거의 업무 관행에 매몰되지 말고 디지털·비대면 시대로의 전환을 준비해야 하며, 열린 자세로 대내외의 다양한 의견에 귀를 기울이면서 역량을 모으고 지혜를 발휘해야한다.”
2일 이명호 한국예탁결제원 사장은 임인년 신년사를 통해 “환경의 변화를 먼저 읽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조직만이 살아남을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사장은 “올해는 그 어느 해보다 위협요인이 눈앞에 다가와 있으며, 당면 과제들을 슬기롭게 헤쳐나가야만 하는 매우 중요한 시기다”라고 강조하면서 올해 경영목표를 ‘소통·공감·혁신’으로 정하고,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업계획을 밝혔다.
우선 블록체인(분산장부)의 등장을 새로운 기회로 판단하고, 디지털 금융혁신 기반을 마련을 통해 신성장동력을 확보할 계획이다.
이 사장은 “블록체인으로 기록되는 증권형 토큰은 중앙집중형 단일장부만을 운영해 오던 전자등록기관의 업무 근간을 흔들 수도 있는 현실적인 위협이자 다른 한편으로는 기회다”라며 “회사는 증권형 토큰 전용 발행·유통 플랫폼 구축 로드맵을 마련해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한편, 블록체인에 기반한 새로운 사업모델과 조직체계를 재설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IT 인프라 및 전자등록 서비스 역량 강화에도 나선다. 이를 위해 데이터 백업체계 개선, 백업데이터 보호용 EMP(Electromagnetic pulse) 차폐기능 도입, 기간계 시스템 용량 증설 등으로 안정성을 강화한다.
또 국내주식 소수단위 거래 지원시스템 구축, 개인투자용 국채의 전자등록 수용, 전사적인 증권정보 관리체계(SEIBro) 정비, 유동화증권 정보공개 확대 등을 통해 시장의 혁신금융을 지원해 나갈 방침이다.
그는 이어 “시장 활성화와 안정화, 자산운용시장의 투명성 제고를 위해 증권결제 및 증권파이낸싱 업무의 리스크 관리를 강화해 선진화하고, 자산운용시장의 핵심인프라(펀드넷) 기능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결제 등 업무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환매조건부채권 중앙청산소(Repo CCP) 도입 ▲대체거래소(ATS) 출범 대응 ▲증권대차중개 리스크 상시모니터링체계 구축 ▲장외파생상품거래 증거금 관리방식 개선해 나갈 계획이다.
펀드넷이 시장과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자산운용인프라로 자리매김하도록 ▲비시장성자산 운용지시 지원시스템 구축 ▲펀드의 외화자산 운용지시 지원시스템 구축 ▲퇴직연금플랫폼 및 ISA-Net의 서비스 기능 확충 ▲벤처넷 서비스 확대를 위한 대외협력 강화 등을 추진한다.
이 외에 자본시장형 혁신 창업 성장지원과 글로벌 비즈니스 역량도 키운다. K-캠프 실시지역 확대 및 전용 웹페이지 개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업무 개선, 기관투자자 대상 의결권 지원서비스 활성화 등을 중점적으로 살피고, 홍콩사무소 기능 확대 검토, 외화증권 관련 법·제도 개선 등에도 나선다.
아울러 내부적으로는 시장성 기업 전환을 위해 내실화와 체질 개선에 힘쓴다.
이 사장은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집단지성이 작동하는 소통과 공감의 문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자발적 학습문화를 조성함으로써 전문지식을 확대·공유해 사내 인재들이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하고, 개인의 다양성이 존중받고 가장 낮은 곳의 목소리도 가장 높은 곳까지 울리는 건강한 조직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열심히 일하는 직원이 대우받는 공정한 인사, 질책보다는 격려해 주는 따뜻한 동료의식, 상호존중과 신뢰가 바탕이 되는 노사문화가 제대로 자리잡도록 해 소통하고 공감하는 조직문화를 만들어 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이 사장은 “지난 한 해 보여주신 임직원 여러분의 열정과 노고에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며, 새해에는 임직원 모두의 소망이 이루어지고, 여러분의 가정에도 건강과 행복이 충만하시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