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의존 항공기 첨단방어시스템 국산화 성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화시스템이 국방과학연구소(ADD)가 주관한 ‘지향성적외선방해장비(DIRCM) 운용시험평가’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13일 한화시스템과 국방과학연구소에 따르면 DIRCM 시제를 실제 무기 체계에 적용해 군에서 필요로 하는 작전 운용 성능과 운용 적합성을 검증받는 최초 운용시험평가를 마쳤다.
DIRCM은 아군 항공기를 공격하는 적의 휴대용 대공미사일(MANPADS)의 위협에 대응하는 장비다. 항공기에 장착돼 미사일 위협 신호가 탐지되면 고출력 적외선 레이저(기만 광원)를 발사한다.
미사일을 교란하는 방식으로 아군 항공기의 생존성을 높이는 첨단 방어 시스템이다. 그동안 DIRCM은 해외 구매를 통해 도입해왔다. 이번 운용시험 평가가 성공적 마무리됨에 따라 해외에 의존하던 항공기 방어 시스템에 대한 국내와 해외까지 공급할 수 있는 성능 입증 근거가 마련된 셈이다.
앞으로 국내 순수 기술로 만든 DIRCM이 ▲한국형 기동헬기(KUH, 수리온) ▲중형기동헬기(UH-60, 블랙호크) ▲대통령 전용헬기(VH-92) ▲수송기 C-130 등 군에서 운용 중인 항공기에 적용될 예정이다.
앞서 한화시스템은 2014년부터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DIRCM 시험개발에 시제 개발 업체로 참여했다. 2018년에는 국내 최초이자 미국, 영국, 이스라엘 등에 이어 세계 여섯 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바 있다.
한화시스템 관계자는 “자체 투자로 DIRCM을 고출력·소형화·경량화할 수 있는 기만 광원 기술을 추가 확보해 헬기부터 대형 항공기까지 전력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광열 한화시스템 감시정찰사업본부장은 “DIRCM의 성공적인 국산화를 통해 해외에 의존했던 한계를 극복하고 자주국방 실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 군이 운용 중인 다양한 항공기에 적용하고 기술경쟁력을 확보해 글로벌 방산 시장까지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