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지형 스마트팜 추진, 관련 플랫폼 지원
AI로 최적의 농사 가이드 제공, 생산 증가

LG CNS는 전라남도 나주에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스마트팜 산업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LG CNS는 전라남도 나주에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스마트팜 산업 분야를 선도하겠다고 19일 밝혔다. 사진=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LG CNS가 전라남도 나주에서 야외 스마트팜 조성에 나선다. 축구장 76배 크기의 규모로 단지가 조성되며 별도의 실내 시설없이 실외 스마트팜을 구축하면서 성공 가능성에 관심이 모인다.

LG CNS는 지난 1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전라남도가 추진하는 '첨단 무인 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구축' 사업 참여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3년까지 전라남도 나주시 54.3㏊(54만3000㎡, 약 16만평) 규모 땅에 지능형 스마트팜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번 사업은 기존 스마트팜 사업이 시설재배 중심으로 진행되는 것과 달리 기반 시설이 없는 노지에서 진행된다. 외부변수 차단이 어려워 고도화된 인공지능(AI)이 필수적이다. LG CNS는 이번 사업을 기점으로 노지형 스마트팜 지원 플랫폼의 기틀을 다지려 한다. 

국내 농경지 95%가 노지에 해당하기에 LG CNS가 노지형 스마트팜 플랫폼 조성에 성공할 경우 관련 분야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이번 사업 참여 지역 규모가 상당해 대량의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LG CNS는 농사 전 과정을 관리하는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 개발을 1차 목표로 잡았다. 스마트팜 지능화 플랫폼은 작물 생육상태와 토양, 온·습도, 병충해 유행시기 등의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최적의 농사 가이드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LG CNS는  수만대의 사물인터넷(IoT) 센서와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회사는 최종적으로는 디지털 정밀농업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데이터 정밀농업 기반이 마련되면 적산온도와 적정 수문함량 등 세부데이터를 통해 최대 수확량을 미리 계산할 수 있다. 관련 업계는 식량 자급률이 타 국가에 비해 떨어지는 국내 상황에 필요한 사업이 될 것이라 기대한다. 향후에는 세종 스마트시티에 아파트형 스마트팜, 옥상 스마트팜, 첨단 유리온실 등을 구축하는 사업도 구상 중이다. 

IT 업계 관계자는 “그동안 노지에 대한 스마트팜 플랫폼 조성 시도가 없던 것은 아니지만 대량의 데이터를 획득할 기회가 마련된 셈”이라며 “플랫폼 조성에 필요한 데이터가 업계 선도의 기반이 될 가능성이 높고, 정부 사업 참여 성과까지 내면서 시장에서 자리를 잡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키워드
#LGCNS #스마트팜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