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새정부 경제정책과 최근 경제상황' 조사

새 정부 경제정책 기대·우려 요인.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새 정부 경제정책 기대·우려 요인. 사진=대한상공회의소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기업 10곳중 7곳이 새 정부의 경제정책 방향에 대해 기대를 걸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국내기업 322개사를 대상으로 ‘새정부 경제정책과 최근 경제상황’을 조사한 결과 ‘새정부의 경제정책’에 대해 응답기업의 72.7%가 '기대한다'고 답했다고 8일 밝혔다.

기대요인은 ‘시장·민간중시의 정책기조’(47.9%)와 ‘규제개혁 의지’(35.3%)를 꼽았고, 우려요인은 ‘정치이슈’(65.9%)와 ‘공급망 등 대외리스크’(14.8%)가 주를 이뤘다.

기업들은 경제 정책 추진에 반영돼야 할 키워드로 ‘공정’(52.5%), ‘혁신’(51.9%), ‘성장’(50.9%)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미래’(39.1%), ‘시장’(33.9%), ‘소통’(31.7%)이 순이었다.

새정부 경제정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중요한 요소를 묻는 질문에 대해선 ‘미래를 위한 투자·인프라 지원’(96.3%)과 ‘규제혁파를 통한 기업혁신 유도’(90.4)%가 중요하다고 답했다. ‘노사갈등 조정’ (86.8%), ‘민관협업시스템 마련’(82.2%) 등이 뒤를 이었다.

또 이번 조사에서는 현재 기업이 직면한 물가·환율·공급망의 ‘삼중고’가 미치는 피해와 기업의 대응에 대해서도 물었다.

최근 고공 행진 중인 물가의 영향을 묻는 질문에 응답 기업의 77.3%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답해 가장 큰 경영 리스크로 꼽혔다. 최근 급등한 환율의 영향으로 피해를 봤다는 기업은 51.6%로 나타났다.

공급망 경색으로 피해를 입은 기업은 52.5%로 조사됐다. 피해내용은 ‘원자재·부품 부족으로 생산 차질’(69.2%)을 겪고 있는 기업이 가장 많았다.

‘삼중고’의 경제 위기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기업들은 ‘성장동력 회복’(37.9%)과 ‘물가안정’(35.4%)을 최우선으로 꼽았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실장은 “우리 경제는 현재 직면한 위기 요인을 돌파해야 하는 100m 경기와 중장기적으로 성장동력을 끌어올려야 하는 마라톤 경기를 동시에 뛰어야 하는 상황”이라며 “새 정부는 각각의 위기 요인에 대해 맞춤형 지원체계를 수립하고 미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는 동시에 기업의 발목을 잡는 규제를 덜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