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부,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사업 추진… 546억원 투입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정부가 밀가루 가격 안정을 위해 제분업체에 가격상승분의 70%를 지원한다. 예산은 지난 2차 추가경정예산에서 546억원을 확보해 둔 상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국내 제분업체를 대상으로 밀 수입가격 상승분의 70%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밀가루 가격 안정 지원사업’을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올해 하반기 밀가루 출하 가격을 동결하거나 밀 수입가격 상승분의 10% 범위 내에서 밀가루 가격을 인상한 제분업체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기로 했다.
밀가루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밀 가격 상승분의 70%를 정부가 지원하고 나머지 20%는 제분업체가, 10%는 소비자가 각각 부담한다. 지원 기간은 올해 7월부터 내년 1분기(예산 소진 시)까지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국제 밀 선물가격은 미국 등 주요 수출국의 작황 악화로 인해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승했고 올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영향으로 더 올랐다.
농식품부는 밀 선물가격이 수입가격에 반영되는 데 보통 4∼6개월이 걸린다면서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밀 선물가격 상승이 하반기 수입가격에 반영되고, 이로 인해 하반기 식품물가가 더 상승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은 이날 서울 서초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서 국내 주요 제분업체 9개사와 간담회를 열고 “국제 밀 가격이 국내에 영향을 미치는 시차 등을 고려할 때 하반기 이후 국내 식품 물가 상승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며 “업계의 협조를 당부했다.
이어 “정부는 이미 발표한 물가안정 대책을 차질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주요 식품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적용 확대 등 소비자와 업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조치사항이 있는지 면밀히 살피겠다”고 말했다.
- 정부, 22일부터 국산밀 수매… 작년보다 2배 늘어난 '1.7만t 규모'
- 원숭이두창 글로벌 확산 일로...국내 유입도 시간 문제
- 농축산물 가격 급등에… 다음 주 장바구니·외식물가 대책 찾는다
- 금겹살 가격 '들썩'… 이달 돼지고기 도매가 20% 상승 전망
- 추경호 "물가상황 매우 엄중… 대응방안 지속 강구하겠다"
- 대통령실 “대통령 소속 위원회 60~70% 줄인다”
- 신한은행, 유학생 송금 이벤트 시행
- 우리카드, 업계 최초 ‘비대면 가맹점 가입 서비스’ 시행
- 이원덕 우리은행장 “고객과 현장에 은행의 미래 있다”
- "외식하기 겁나네"… 자장면·라면 등 외식물가 30년만에 '최악'
- 원재료값 폭등에 빵도 '줄인상'… 써브웨이 5.8%, 롯데리아 5.5% 올라
- 소상공인 규제완화 반발 "대형마트 휴무일 온라인 배송 막아야"
- 정황근 농식품부 장관 "추석 이후 농식품 물가하락 전망"
- 곡물가격 천장인데 이상한 쌀값 폭락...'밥' 대신 '빵' 시대 반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