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등급 상승 등 10억달러 규모 매수 주문 몰려

LG화학이 총 3억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에 성공했다. 회사는 그린본드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전지소재사업 등의 투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LG화학 제공
LG화학이 총 3억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를 발행에 성공했다. 회사는 그린본드 발행으로 확보한 자금을 전지소재사업 등의 투자금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사진=LG화학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화학이 8일 전지소재사업 경쟁력 강화와 추가 투자 재원 확보를 위해 그린본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그린본드는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동시에 발행돼 유통되는 국제 채권이다. 용도는 기후변화, 재생에너지 등의 친환경 프로젝트와 인프라 투자에 한정됐다. LG화학은 지난 7일 총 3억달러(약 3900억원) 규모의 글로벌 그린본드 발행에 성공했다. 

앞서 회사는 지난 1분기 실적발표를 통해 매년 4조원 규모의 시설투자를 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린본드로 확보한 자금은 양극재, 분리막 등 전기차 배터리 소재 관련 분야에 전액 투자할 계획이다. 

그린본드는 전액 달러(USD)로 발행되며 3년 만기 3억달러의 단일 채권으로 구성됐다. 고정금리로 미국 3년물 국채금리(Treasury Rate) 3.036%에 1.400%포인트를 더한 4.436%의 금리로 결정됐다. 

특히 글로벌 신용평가사 S&P은 올해 1월 LG화학의 신용등급 전망을 BBB+(Stable, 안정적)에서 BBB+(Positive, 긍정적)로 상향했다. 지난 2월 무디스도 Baa1(Positive, 긍정적)에서 A3(Stable, 안정적)로 등급을 조정했다.

신용등급 상승 등으로 전 세계 81개 기관 투자자로부터 10억달러 규모의 매수 주문이 몰렸다. 이에 회사는 LG에너지솔루션의 기업공개(IPO) 당시 구주 매출을 통해 확보한 2조5000억원을 포함, 그린본드 발행 및 시설대금 차입 등으로 올해만 총 3조5000억원 규모의 투자 재원을 확보할 전망이다.

LG화학 관계자는 “불안정한 국제 정세와 미국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투자심리 악화에도 3대 신성장동력(친환경, 전지소재, 글로벌 신약) 사업 관련 투자자들로부터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며 “경쟁력 있는 조건으로 외화를 조달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