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콘텐츠에 커머스까지 투트랙으로 북미 공략
커머스 분야 진출 본격화, 내년 1분기 계열사 편입

포쉬마크는 80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C2C 플랫폼이다. 사진=네이버 제공
포쉬마크는 8000만명 이상의 이용자를 보유한 글로벌 C2C 플랫폼이다. 사진=네이버 제공

[서울와이어 한동현 기자] 네이버가 글로벌커머스시장 진출을 위해 ‘포쉬마크’를 인수한다고 4일 발표했다. 북미 최대 패션 C2C 플랫폼인 포쉬마크를 기반으로 장기적인 경쟁력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이날 네이버 발표에 따르면 포쉬마크 인수에 2조3441억원을 사용했다. 글로벌시장에서 버티컬 플랫폼이 각광받고 있어 이를 미리 선점하려는 계획이다. 

버티컬 플랫폼은 특정 카테고리 제품 라인만을 다루는 일종의 전문몰이다. 전문 제품 판매와  매니아들간의 커뮤니티 역할 등을 맡아 MZ세대들의 새로운 모임터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포쉬마크는 2011년 설립 이후 총 8000만명 이상의 사용자가 이용 중이다. 

네이버의 글로벌커머스 진출은 이보다 전부터 진행되고 있었다. 앞서 국내 크림, 일본 빈티지시티, 유럽 베스티에르 콜렉티브 등 글로벌 C2C 업체에 투자했으며 이번 포쉬마크는 아예 인수를 했다. 

올해 역점 진출지역으로 꼽히는 북미시장에서 웹툰 기반 사업이 이미 진행 중이며 다른 축인 커머스 사업에도 속도를 올리려는 계획이다. 

기술적인 지원도 이어질 예정이다. 네이버의 검색, 인공지능(AI) 추천, 라이브 커머스, 커뮤니티 플랫폼, 광고 플랫폼 기술들이 포쉬마크 이용자들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네이버는 보유 기술을 포쉬마크에 지원해 새로운 사업수익모델을 구축하도록 할 계획이다.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보유 기술을 포쉬마크에 지원해 새로운 사업수익모델을 구축하도록 할 계획이다. 사진=네이버 제공

네이버는 2023년 1분기까지 포쉬마크 인수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이후로는 포쉬마크가 계열사로서 기존과 같은 정체성을 갖고 운영될 것으로 알려졌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가 올해 네이버의 글로벌 진출에 역점을 둔 만큼 추가적인 협약도 이뤄질 가능성도 있다. 최 대표는 "대규모 사용자를 보유한 북미 1위 패션 C2C 플랫폼인 포쉬마크와 함께 하면서 북미 MZ세대를 더욱 폭넓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다"며 "글로벌 IT 산업 본진인 실리콘밸리에서 한국 기업으로서 새로운 혁신과 도전을 거듭하며 한단계 높은 성장을 기록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포쉬마크 측에서는 기술지원을 받아 새로운 비즈니스모델을 적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마니쉬 샨드라 포쉬마크 CEO는 "네이버는 인터넷의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사업을 성공적으로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이라며 "셀러와 사용자의 커뮤니티에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기술과 서비스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포쉬마크는  사용자 8000만여명 중 MZ세대가 80%를 넘는 대형 C2C 플랫폼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연간거래액(GMV) 18억달러, 매출은 3억3000만달러를 기록했고 직전 분기 기준 GMV는 4억8000만달러, 매출은 9000만달러였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