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 폴란드 민간기업과 원전개발계획 LOI 체결
원전 2~4기 수출 청신호… 사업규모만 최소 10조원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 겸 국유재산부 장관이 지난달 31일 서울 중구 더 플라자호텔에서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 원전 개발 계획 수립 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한국형 차세대 원자력발전소의 폴란드 수출이 사실상 확정됐다.

우리나라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이 지난달 31일 폴란드 정부를 비롯한 폴란드 민간발전사 제팍(ZE PAK)과 국영 전력공사(PGE)와 양해각서, 원전 개발과 관련 협력의향서를 체결하면서다. 

1일 업계예 따르면 산업자원통상부는 폴란드 국유재산부와 원전 협력을 포함한 주기적인 정보 공유와 지원을 확대하는 내용이 담긴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폴란드 퐁트누프 지역에 있는 원전 개발사업에는 한수원이 참여할 전망이다.

한수원은 폴란드 민간발전사, 국영 전력기업이 퐁트누프에 지역 화력발전소 부지에 추진하는 원전 건설사업 수주에 나섰으며, 양국 정부는 사업을 지원하기로 했다. 한수원과 폴란드 기업들과 연말까지 원전 건설 기본계획을 마련할 방침이다. 

야체크 사신 폴란드 부총리는 본계약 체결에 대해 확신한다고 자신했다. 그는 “(본계약 체결)가능성에 대해 간단히 말하면 100%”라고 강조했다.

폴란드 부총리 발언에 따라 본계약 체결이 성사되면 한국형 원전은 아랍에미리트(UAE) 이후 13년 만에 해외로 수출되는 셈이다. 

특히 유럽으로 국내 원전이 수출되는 첫 사례로 의미가 크다. 윤석열 정부가 목표로 삼은 2030년 원전 해외수출 10기도 탄력 받을 가능성이 높다. 수출 물꼬가 트이면서 유럽국에 대한 원전 추가 수주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윤 대통령이 올해 6월 나토 정상회의에서 안제이 두다 폴란드 대통령에게 양국 원전사업의 협력 필요성을 설명한 바 있다”며 “이 자리는 양국 정부와 기업의 노력이 쌓인 아름다운 결실이고 윈-윈(Win-win)하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수주를 확정한 뒤 한수원은 폴란드 측과 기본계획을 바탕으로 타당성조사를 거쳐 이르면 2026년 원전 건설에 착공할 예정이다. 국내 APR1400을 중심으로 원전 2기(2800㎿) 도입이 유력한 상황이다.

한수원이 루비아토보·코팔리노사업에 제시했던 건설단가를 적용하면 사업비는 11조원 안팎에 달한다. 이번 프로젝트는 민간 주도 사업으로 폴란드 정부의 ‘에너지정책 2040’에 포함된 원전 건설 계획을 보완하는 형태로 이뤄진다. 

미국 원전기업인 웨스팅하우스가 따낸 루비아토브-코팔리노사업과는 별개다. 당장 정부는 현지에 1.4기가와트(GW) 최소 원전 2∼4기가 건설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폴란드 외 체코,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원전 수주전에서도 우위를 점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박일준 산업부 2차관은 “유럽에서 원전에 대한 관심, 의지를 표명한 나라가 많다. 나라마다 사정도 조금씩 다르다”며 “체코는 체코대로 한국형 원전의 장점이 많다고 본다. 한국형 원전의 기술력이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유럽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웨스팅하우스가 제기한 소송이 수출에 발목이 잡을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하지만 업계는 한수원이 APR-1400 설계에 대한 지식재산권을 모두 갖춘 만큼 영향은 크게 미치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직접 소송에 개입한 것이 아닌 개별 기업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면 원전 수출 전선이 흔들리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우리나라와 미국 정상이 원전 협력을 약속한 만큼 향후 소송전도 국내 원전 수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