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전 올릿 트윗 발단, 증권사기 혐의로 집단소송
"허위 글로 주가 급등락… 재산상 손실 유발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년 전 트위터에 올린 글로 재판을 받게 됐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제공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5년 전 트위터에 올린 글로 재판을 받게 됐다. 사진=로이터 연합뉴스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증권사기 혐의 의혹 관련 재판을 받는다. 그가 5년 전 올린 트위터에 올린 글이 문제가 됐고, 주주들의 불만이 소송으로 이어졌다.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법원은 16일(현지시간) 머스크가 올린 ‘상장폐지’ 트윗 관련 재판을 연다고 밝혔다. 법원은 오는 18일 배심원단 선발을 시작해 증권사기 혐의 재판 진행을 위한 사전 절차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관련 재판은 다음 달 1일까지 진행될 전망이다. 해당 재판은 2018년 8월 머스크가 트위터에 올린 “테슬라를 주당 420달러 비상장 회사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 중으로 자금은 확보됐다”는 글에서 비롯됐다.

그는 같은 달 13일 테슬라 블로그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테슬라 상장폐지를 위한 자금지원을 수차례 제안했다고 밝혔다. 트위터와 블로그에 올린 글은 파장이 컸다. 

실제 2018년 8월7일부터 17일 사이 테슬라 주가는 급등락했고, 시가총액은 최고점 대비 약 140억달러(약 17조3600억원) 줄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해당 사안에 머스크를 증권사기 혐의로 고소했다. 

SEC와는 가까스로 합의를 봤지만, 테슬라 주주들의 분노는 막을 수 없었다. 일부 주주들의 경우 머스크의 사기로 수십억 달러의 투자 손실을 냈다며, 그와 테슬라 이사진을 상대로 손해배송을 요구하는 집단소송을 제기했다. 

지난해 4월 재판을 맡은 에드워드 첸 샌프란시스코 법원 판사도 머스크의 상장폐지 트윗이 거짓이었다는 예비 판단을 내렸다. 머스크가 자금 확보 실패를 이유로 얼마 뒤 테슬라 상장폐지를 백지화했다는 점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재판 결과는 머스크 트윗의 진실성 여부로 갈릴 전망이다. 머스크는 이와 관련 “테슬라의 비공개 회사 전환을 실제로 고려했으며, 이를 위한 자금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믿었다”는 주장을 펼치는 등 주주들들 고의로 속인 게 아니라는 입장이다. 

특히 그는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로부터의 자금 지원 약속은 실제로 있었고 본인은 뒤통수를 맞은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분위기는 머스크에 불리한 쪽으로 돌아가고 있다. 질 피시 펜실베이니아대 증권법 교수는 “법원이 트윗에 대해 거짓 진술이라는 판단을 내렸다는 점을 비춰볼 때 머스크는 힘든 싸움에 직면했다”고 말했다.

한편 머스크는 이뿐 아니라 트위터 인수 뒤 대규모 인력을 해고하는 등 현지 여룐의 역풍을 맞았고, 테슬라는 잇따른 화재와 가격 인상으로 브랜드 이미지는 현재 추락을 거듭하고 있다. 

급기야 업계에서는 테슬라의 오너리스크가 심각한 수준으로 분석하는 등 머스크가 악재를 털고 이미지 회복에 나설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