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상증자·기업 인수 합병 등 기업이벤트 테마 120건
거래소 "시장경보 지정.조회공시 의뢰 후 주가 안정"

(표=한국거래소)
(표=한국거래소)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는 작년 시장경보 지정 건수가 총 2062건 발생해 인플레이션에 따른 세계적인 기준금리 인상으로 2021년(2599건)보다 21% 감소했다고 24일 밝혔다. 단계별로는 투자주의가 1862건, 투자경고가 143건, 투자위험이 18건, 매매거래정지가 39건 지정됐다.

시장경보제도는 투자주의, 투자경고, 투자위험의 3단계로 조치된다. 투자주의 종목은 소수의 계좌에 매매가 집중되거나 주가가 급변하는 등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있는 종목에 대해 1일간 지정한다. 투자경고·위험 종목은 주가가 일정 기간 급등하거나 불공정거래 개연성이 보이는 종목에 대해 10일간 지정하며 매매거래정지도 가능하다.

투자경고는 투자주의 지정 상태에서 주가가 5일간 60% 상승하는 '단기급등' 요건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86건(60%)으로 가장 많았고, 투자위험은 투자경고 지정 상태에서 주가가 3일간 45% 상승하는 '초단기급등' 요건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12건(67%)으로 가장 많았다.

(표=한국거래소)
(표=한국거래소)

시장경보 지정 사유별로는 주요테마에 대한 지정이 486건으로 전체의 24%를 차지했다. 특히 정치인 테마주 위주의 변동성 장세가 나타났던 2021년도와 달리 2022년에는 기업이벤트 테마주가 새롭게 등장했다.

작년 3월 대선 및 6월 지방선거 등 정치 이슈가 겹치면서 정치 테마 비중이 26%(124건)을 기록했고, 무상증자·기업인수 및 합병 관련 등 기업이벤트 테마도 25%(120건)를 차지하며 높은 지정 비율이 나타났다.

시황급변 조회공시 의뢰 건수는 41건으로, 전년 대비 73% 급감했다. 코로나19에 따른 시황급변 조회공시 의뢰가 급증한 2020년(252건) 이후 증시 전반이 안정되고 주가변동성이 완화됨에 따라 점차 감소추세라고 거래소는 설명했다.

조회공시 의뢰건 중 테마주 비율은 29%(12건)이었고, 이 중 정치인 및 기업이벤트 관련 의뢰가 11건으로 테마주 중 대부분을 차지했다. 정치인 테마의 경우 의뢰된 6건 중 2건이 상장법인에게 통보해 공시시스템 또는 상장법인 홈페이지 등을 통해 적극 해명을 유도하는 사이버 경보(Cyber Alert)와 함께 발동됐다.

조회공시요구에 대한 회사 측 답변은 중요공시 없음(32건, 78%)이 다수였다.

거래소는 시장경보 지정 및 조회공시 요구 이후 주가 상승 폭이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주가변동성이 완화해 투자자 보호 및 불공정거래 예방에 기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작년 이상급등종목의 시장경보 종목으로 지정되기 전날과 다음 날의 주가 변동률은 투자주의 종목의 경우 5.6%에서 0.2%로 줄었고, 투자경고 종목은 12.7%에서 -(마이너스)3.8%로, 투자위험 종목은 15.4%에서 -1.3%로 변동 폭이 감소했다.

특히 코로나, 우선주 등 테마주 발호 종목의 급등세 억제효과가 있었다고 거래소는 밝혔다. 투자경고 ‘우선주’의 주가변동률은 111.2%에서 -27.1%로, 투자위험 ‘코로나’는 290.7%에서 -29.5%로 변동폭이 줄었다.

또한 거래소는 지난해 11월 불건전요건 적출기준을 개정해 시가·종가 기준을 신설하고 연계계좌군 적출을 강화한 결과, 복수 계좌의 연계주문으로 인한 단기 주가상승을 억제했다고 밝혔다.

조회공시의 경우 의뢰 당일과 다음날 주가변동률이 21.3%에서 -4.4%로 줄어 조회공시 요구 직후부터 주가변동률이 완화됐다. 특히 중요공시 있음(15.0%→-14.7%), 중요공시 없음(21.7%→-10.4%) 등 중요공시 유무가 확실한 경우 뚜렷한 주가 안정세를 보였다.

거래소는 불공정거래 사전 예방활동 강화를 위해 시장환경 변화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운영효과를 지속 분석해 제도운영에 적극 반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