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종현 기자]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이 사회관계망(SNS)에 폭로된 미국 정보기관의 한국 국가안보실 도감청 기밀문건에 대해 "상당수가 위조됐다"고 밝혔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 차장은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에서 미국 방문길에 오르기 앞서 기자들에게 "오늘 아침 양국(한국과 미국) 국방장관이 통화를 했고 양국의 견해가 일치한다"면서 "공개된 정보 상당수가 위조됐다는 데 대해 한국과 미국의 평가가 일치한다"고 말했다.
김성한 전 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간 대화 등 한국 관련 내용도 사실과 합치하지 않는다고 보느냐는 물음에는 "(합치하지) 않는다"고 재확인했다.
그는 미국 측에 어떤 입장을 전달할 계획이냐는 질문에 " (전달)할 게 없다. 왜냐하면 누군가가 위조를 한 것이니까. 따라서 자체조사에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공개된 정보 상당수가 위조된 것이기 때문에 미국에 항의하거나 정보 유출 경위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김 차장은 "양국이 정보동맹이니까 정보 영역에서 중요한 문제에 대해서 긴밀하게 지금 함께 정보 활동을 펴고 있다"며 "따라서 이번 일을 계기로 좀 더 신뢰를 굳건히 하고 양국이 함께 협력하는 시스템을 강화할 생각"이라고 했다.
또 "미국이 세계 최강의 정보국이고 양국이 지금 (윤석열 대통령) 취임 이후로 11개월 동안 거의 모든 영역에서 정보를 공유해 왔고 중요한 정보 활동을 함께 하고 있다"며 "그러한 미국의 능력과 역량을 우리가 함께 얻고 활동한다는 것은 큰 자산이고 이번 기회에 양국의 신뢰가 더 강화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차장의 이런 발언은 미 국방부에서 유출된 기밀 문건들이 상당히 사실에 부합한다는 견해가 미국 내에서도 나오고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예상된다.
우크라이나 정부는 이번에 폭로된 자국관련 기밀정보를 러시아가 역으로 이용할 수 있다고 보고 전쟁 작전계획을 변경했다는 보도가 나오고 있다.
예컨대 한국산 155mm 포탄 33만발의 유럽 이송과 관련한 기밀문건은 동선과 시간 등 일정표까지 나와있고, 김성한 전 안보실장과 이문희 전 외교비서관 간 대화 내용도 매우 구체적이어서 이 모두가 조작된 것인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