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오후 4시, 공식 홈페이지서 주택 매입 공고
침수 등 재해 사각지대 반지하주택 퇴출에 속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여름철 침수 피해 등 재해 취약가구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올해 총 3450가구의 반지하주택 매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진=SH공사 제공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여름철 침수 피해 등 재해 취약가구의 주거 환경 개선을 위해 올해 총 3450가구의 반지하주택 매입을 추진하기로 했다. 사진=SH공사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취약계층 주거 문제에 팔을 걷어 붙혔다. 실제 SH는 서울시 방침에 따라 여름 장마철 침수 등 재해에 취약한 반지하주택 퇴출을 서두르는 모양새다.  

SH공사는 11일 오후 4시 홈페이지에 반지하주택 매입 공고를 낼 예정이다. 반지하주택을 점차 없애겠다는 서울시 정책에 맞춰 총 8061억원의 예산을 들여 올해 총 3450가구의 반지하주택을 매입하기로 했다. 

매입 가격은 감정평가 값으로 결정되며. 국비 4947억원과 시비 3114억원이 투입된다. SH는 25개 자치구 내 다가구, 다세대, 연립주택 등을 동별 일괄 매입할 방침이다. 

우선 매입 대상은 침수 이력이 있는 반지하주택, 시에서 지난해 특별재난구역으로 지정한 7개 자치구 내 반지하주택, 지층이 지반에 3분의 2 이상 묻힌 주택 등이다. 

매입이 완료되면 반지하주택에 살던 세입자는 매입 임대주택 입주자로 전환돼 이주·이사비를 지원받는다. 주택을 소유하지 않은 반지하주택 세입자의 경우도 별도 소득·자산심사 없이 재계약을 거쳐 공사의 매입 임대주택에 거주할 수 있다. 

지상층에 거주하는 세입자의 임대차계약 기간은 SH가 일괄 승계할 계획이다. 반지하주택 소유주는 SH 홈페이지에서 공고일 이후 연내 상시로 매도 신청을 할 수 있다. 또 우편으로도 신청 가능하다. 

다세대·연립주택의 경우 반지하주택을 포함한 건물 전체 가구 수의 절반 이상을 함께 접수해야 매입이 이뤄진다. 해당 매물은 매입심의 절차를 거쳐 공사가 매입 여부가 결정되며, 접수 확인과 심의 일정 등은 신청자에게 별도 안내된다. 

김헌동 SH공사 사장은 “앞으로도 재해 취약가구 주거환경 개선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반지하주택, 침수주택 등을 매입하고 주거 상향을 제공해 시민이 더 안전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