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1일 열린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 참석해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물가상승률이 한은의 중장기목표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는 금리 인하 논의를 안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 "상반기 물가 경로는 확신이 있는데 하반기 불확실성이 많아서 확인하기 전까지 금리 인하 언급은 부적절하다"고 밝혔다.

그는 "금통위원들의 견해를 말씀드리면 금리 인하를 아직 고려할 단계가 아니며, 물가 불안 요인이나 이런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융통화위원 6명 중 5명은 당분간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이었다" 며 "나머지 1명은 3.5%로 동결하는 게 적절하다는 입장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물가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앞으로 산유국 추가 감산이 국제유가에 미치는 영향과 공공요금 인상이 하반기 물가 경로에 주는 불확실성이 크다는 점을 하나 고려해야 한다"며 "두 번째는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주요국, 미 연방준비제도(Fed)가 통화정책을 어떻게 가져갈지 더 지켜봐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리 인상이 종료됐다는 시장 반응에 대해 금통위원 중 많은 분이 '시장의 기대가 과한 것 아닌가'라고 생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현 금리수준이 실물 부분에 대해선 제약적이라는, 계량경제학적으로 중립 이상이라고 설명드릴 수는 있다"면서도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과도한 반응으로 보는 게 금통위원들의 중론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