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서 입장 밝혀
최종금리 3.75% 가능성… 주요국 통화정책 참고

[서울와이어 최석범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7일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장기 목표인 2% 수준으로 수렴하는 게 확인되면 금리인하 가능성을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날 서울 양천구 방송회관에서 열린 방송기자클럽 초청 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그는 "2월엔 물가상승률이 4.8%, 3월부턴 4.5% 이하로 떨어진 후 연말 3% 초반대로 낮아질 것"이라며 "연말 물가가 3%대로 수렴하는 것을 볼 때 까지는 기준금리를 올리느냐, 동결하느냐를 고민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연말 물가가 떨어지는 모습을 확인한 이후에 2%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면 그때 금리 인하를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이 총재는 물가 경로를 볼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지표로는 소비자물가상승률와 근원물가상승률을 꼽았다. 근원물가상승률은 단기적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가격을 제외한 물가상승률이다.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에 관해서는 "향후 3개월까진 금통위원 6명 중 5명이 3.75%(현재 3.50%)까지 올릴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했다"며 "다음 달까지 미국, 캐나다, 일본 등 주요국 금리 결정이 있는데 그런 것도 고려할 것"이라고 했다.
지난달 기준금리를 동결한 데 관해서는 "지난 1년 반 동안 3% 포인트 가량 기준금리를 올렸는데, 이것이 우리가 예상하는 물가 경로에 어떤 영향을 줬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2030 돈이 없다… 다중채무자 10명 중 3명은 30대 이하
- 김주현 금융위원장 "기준금리 동결,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여력 있을 것"
- 고금리에 이자부담 떠안은 '취약차주'… 은행권 연체율도 급상승
- [조원경칼럼] 미국은 제대로 물가를 잡고 있을까
- [포토] 이창용 총재, 기준금리 동결에 대해 발언
- 한은, 경기침체·부동산 급락에 '굴복'...기준금리 연 3.50%로 동결
- 한은 "기준금리 3%p 인상, 성장률 1.4%p·물가 1.3%p 낮춰"
- 日압박 있었나… 독일 카셀대 소녀상 기습철거
- 이창용 한은 총재 "금리 인하 언급 부적절하다"
- 취임 1주년 앞둔 이창용 한은총재, 직원들에 내부경영 '낙제점' 받아
최석범 기자
01065319988@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