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이하 청년층, 139만명으로 31% 차지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금융회사 3곳 이상에서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 10명 중 3명은 30대 이하 청년층인 걸로 나타났다.
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선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전달받는 '다중채무자 현황'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다중채무자는 447만3000명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30대 이하 청년층은 139만명으로 31%를 차지했다.
청년층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155조1000억원이다. 1인당 평균 대출 잔액은 1억1158만원으로 1억원이 넘는다. 2018년 3분기 청년층 다중채무자 수는 132만7000명, 대출잔액은 120조7000억원이었다. 4년 전과 비교하면 차주 수는 6만3000명(4.7%) 늘었고, 대출 잔액은 34조4000억원(28.5%) 급증했다.
3곳 이상의 금융회사에서 돈을 빌린 채무자는 '빚을 빚으로 돌려막기'하는 경우가 많아 금리 인상기 부실 가능성이 큰 취약 채무자로 분류된다.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전체 다중채무자(447만3000명)는 2018년 3분기(417만2000명)와 비교해 7.2% 늘었다.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2018년부터 증가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해 3분기 기준 다중채무자 대출 잔액은 589조7000억원이다. 2018년 3분기(497조6천억원) 대비 18.5% 늘었으나, 2021년 4분기 600조2000억원 보다는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60대 이상 고령층의 다중채무자 증가세가 가팔랐다. 지난해 3분기 기준 60세 이상 다중채무자는 57만명, 대출 잔액은 73조4000억원을 보였다. 2018년 3분기(채무자 수 39만7000명·대출잔액 57조4000억원)와 비교하면 각각 43.6%, 27.9% 늘었다.
40대의 경우 같은 기간 다중채무자 수는 134만7000명, 대출잔액은 195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50대는 116만6000명과 165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진 의원은 "다중채무자가 급격히 증가한 상태로 기준금리가 가파르게 상승해 자산건전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며 "취약차주 지원을 위한 금융지원 프로그램과 정책금융 확대 등 선제적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소액대출에 연 이자 3000%, 담보는 나체사진… 악덕 추심꾼 붙잡혔다
- 하나은행, 주택도시기금 수탁은행 선정
- '빌라왕'이 휘저은 수도권, 보증보험 과태로 부과는 고작 28건
- 메쉬코리아, 회생 기각 결정… "hy 매각절차 집중"
- 尹 ‘돈 잔치’ 경고에 놀란 은행권, "취약계층 10조원 지원하겠다"
- [CEO투데이] 명가재건 꿈꾸는 허상희 동부건설 부회장, 연임 가능할까?
- 기재부, 연내 재정관리체계 구축… 최상대 차관 "재정위험 사전 파악 중요"
- 이창용 "금리인하 시기상조… 물가상승률 2% 수렴 때 논의"
- 한국 청년 절반 이상 '부모와 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