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김남규 기자] 은행권이 향후 3년간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10조원 이상을 지원하기로 했다.
은행연합회는 1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은행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정부와 금융당국의 은행권 ‘돈 잔치’ 비판 후 추진된 것으로, 이날 오전 시중은행 임원들은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 모여 사회 환원 및 금융지원 등을 핵심으로 하는 상생 금융 강화방안을 논의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13차 비상경제민생회의를 주재하고 고금리 부담 완화 대책 등 주요 경제 현안을 논의했다. 전날에도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은행의 고금리로 국민 고통이 크다”며 금융위에 관련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은행권은 공동 사회공헌사업 자금을 활용해 저소득·저신용자 등에게 향후 3년간 약 3조원을 지원한다. 취약계층이 불법 사금융으로 밀려나지 않도록 1500억원을 긴급생계비 지원 재원으로 활용하고, 채무를 성실히 상환하는 서민들을 위해 900억원 규모의 저금리 소액대출도 운영할 방침이다. 중소기업의 보증 재원으로는 2조원을 공급할 방침이다.
기타 공익사업도 확대한다. 취약계층 보증사업과 은행권 사회공헌플랫폼 뱅크잇을 통한 공익사업 목적으로 1000억원 활용한다.
신용보증기금 등 공적 보증기관에 대한 5대 은행의 특별출연금도 연간 약 2600억원에서 600억원 늘린 3200억원으로 증액해 향후 3년간 공급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약 3조원 추가 지원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서민금융상품 공급 규모도 확대한다. 새희망홀씨 대출을 매년 6000억원씩 확대해 1조8000억원을 투입한다. 개인차주 대환대출에는 약 5000억원 이상을 신규로 공급한다.
소상공인 저금리 대환대출에는 향후 3년간 은행권 추가 보증재원을 약 800억원 출연한다. 이 외 은행별로 저금리대환 및 저신용자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약 7000억원을 추가 지급한다.
은행연합회 측은 “은행권은 향후에도 적극적인 사회 환원을 통해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 [포토] 대학 졸업은 했는데...취업은?
- 금감원, 5대 은행 과점 구도 깬다… ‘완전 경쟁’ 유도 검토
- 춘천서 실종된 여초등생 충주서 무사 발견 "납치 여부 등 조사"
- [포토] 3년 만에 대면으로 열린 대학 졸업식
- 윤 대통령 "전기·가스 요금속도 조절… 서민 어려움 살피겠다"
- 반도체법 국회서 발목… 야당 “기업 리턴 얼마나?”
- 튀르키예 강진에 7400㎞ 떨어진 우리나라 지하수 수위도 '출렁'
- 현금부자 삼성전자, 디스플레이서 '20조' 수혈… 무슨 이유?
- 우리금융 임종룡 회장 내정자, ‘인사 코드’ 주목
- 중고차 구매 지금이 적기?… 수입차 평균 7% 하락
- 코픽스, 3%대로 하락… 주담대 이자 내린다
- KB국민은행, 튀르키예 피해 복구 지원 해외송금수수료 면제
- '김학의 불법 출금 수사외압' 이성윤 1심 무죄
- 尹 "은행업 과점 폐해 커… 예대마진 축소 필요"
- 은행 진입장벽 확 낮춘다… 과점 카르텔 깨질까
- 2030 돈이 없다… 다중채무자 10명 중 3명은 30대 이하
- 디지털 뱅킹에 일자리 말랐다… 사상최고 실적 5대 은행 4400개 증발
- 최원목 신보 이사장, 광주·전남 스타트업 생태계 소통 행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