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3㎝ 수위 상승, 문경 수위의 7㎝ 상승·3㎝ 하강 등 관측
지진파 영향으로 수위변화… "지진·지하수 관계 연구할 계획"

튀르키예 강진 영향으로 국내 지하수 수위에 변동이 일어났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튀르키예 강진 영향으로 국내 지하수 수위에 변동이 일어났다는 결과가 나왔다. 사진=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제공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튀르키예 강진으로 현지 국민들이 큰 피해를 입은 가운데 7400㎞ 떨어진 한반도에도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기후변화대응연구본부는 튀르키예 지진 발생 이후 국내 지하수 수위에 변동이 있었다고 지난 1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규모 7.8의 튀르키예 지진의 본진과 규모 7.5의 여진이 발생한 이후 경북 문경과 강원 강릉에 위치한 국내 지하수 관측정 두 곳에서 지하수 수위 변화가 일어났다.

강릉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3㎝ 수위 상승이 탐지됐다. 문경 관측정에서는 본진 이후 지하수 수위의 7㎝ 상승과 여진으로 인한 3㎝ 수위 하강이 관측되면서 튀르키예 강진의 영향이 확실하다는 것이 확인됐다. 당장은 큰 문제가 없지만 앞으로 나라 밖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지중 오염이 발생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이수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팀은 지진파 때문에 수위가 변화했다고 분석했다. 지진이 일어나면 진이 일어나면 지진파에 의해 지하수를 머금은 지층인 ‘대수층’ 주변의 암석들이 큰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대수층에 압축과 팽창이 발생하면서 지하수 수위가 상승하거나 하강한다.

해당 연구팀은 2010년 인도네시아 강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2021년 뉴질랜드 강진 당시에도 지하수 수위변화를 관측·연구해 국제학술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진파로 지하수의 유출과 유입이 불규칙해지면 매립지 등에 중요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방사성 폐기물 등 오염물질이 묻힌 땅 속의 환경이 지진으로 변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앞으로 매립지를 만들고 관리할 때 먼 거리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지진의 영향까지 변수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조사를 이끈 이수형 박사는 “이번 관측으로 강진이 발생하면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지각이 흔들리고 지하수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지진과 지하수의 관계에 대해 꾸준히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