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신규 연체율, 전년 대비 2배 이상 높아져
누적 금리인상 효과, 경기부진 겹치며 부담 증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지속된 금리인상 효과와 경기침체로 인한 영향을 받아 가계와 기업의 대출 연체가 급격히 늘었다.
특히 1년 반 동안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 효과 탓에 은행권 연체율 상승이 눈에 띄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은행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국민·하나·우리·NH농협, 신한은행 제외)의 올해 1월 신규 연체율 평균은 0.09%로 집계됐다. 1년 전인 지난해 1월 신규 연체율(0.04%) 대비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신규 연체율은 당월 연체 발생률을 전월 말 기준 대출잔액으로 나눈 것으로 얼마만큼의 새로운 부실이 발생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로 상용된다. 경기침체 상황까지 겹치면서 은행권의 부실 규모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고물가에 서민경제도 비상으로 취약차주들의 대출 상환 여력이 앞으로 더 나빠질 것으로 전망되면서다. 중·저신용자가 많이 이용하는 카카오뱅크와 케이뱅크, 토스뱅크 등 인터넷 은행의 대출 연체률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이들 3사의 1개월 이상 연체 대출 잔액은 2915억9100만원으로 지난해 1분기 말(1062억원) 대비 3배 가까이 뛰었다. 실제 지난해 2분기 말 1392억원에서 3분기 말 1860억원, 4분기 말에는 2916억원에 달했다.
업계에선 여전한 고금리 기조와 경기 둔화가 겹치면서 한동안 신규 연체율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특히 서민들의 이자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금융당국에 고민도 더욱 커졌다.
이에 금융감독원은 연체율 상승 여부를 지속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은행권엔 리스크 관리 강화를 주문했다.
이복현 금감원장도 지난 23일 금융상황 점검회의에서 “금융권 연체율 상승 추이를 정밀 분석하고 취약차주에 대한 선제적 지원 및 건전성 확보를 위한 리스크 관리 방안을 강구하라”고 말했다.
- 원희룡 국토장관 "노임만 챙기는 건설 근로자, 근원까지 뿌리뽑을 것"
- 한국 사회 가족관 대격변… 2030 여성 4%만 "결혼출산은 필수"
- 국회 27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민주, 이탈표 방지 총력전
- "정순신 아들 학폭보다 부모 대응 더 나빴다"… 네티즌 분노 확산
- UAE '한국형' 바라카 원전 3호기 첫 상업가동 시작
- 현대차·기아, 4개 모델… 미 충돌평가서 '최고안전' 등급 획득
- 김주현 금융위원장 "기준금리 동결,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여력 있을 것"
- 금감원장 "인뱅·핀테크가 은행 경쟁 촉진토록 노력"
- 금감원, SM '이상거래' 예비조사 착수… "조사 후 엄증 대응"
- [메타센서] 정부 증권·카드·보험사에 은행업무 허용 검토… 5대은행 아성 무너질까
- 이창용 "금리인하 시기상조… 물가상승률 2% 수렴 때 논의"
- 한은 "기준금리 3%p 인상, 성장률 1.4%p·물가 1.3%p 낮춰"
- 이복현 금감원장 "은행권 금리 인하, 통화정책과 부딪히지 않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