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업운전 기간 단축, 불시정지 발생 단 한건도 없어
정승일 사장 "성공적 사업 완수 등 책임감으로 매진"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우리나라의 1호 수출 원전인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자력발전소 3호기가 마침내 상업운전을 성공적으로 개시했다.
26일 한국전력공사(한전)에 따르면 바라카 원전 3호기는 지난 24일 상업운전을 시작했으며, 현재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앞서 2009년 한전이 UAE로부터 수주한 바라카 원전은 국내 최초의 원전 수출 성공 사례로 기록됐다.
1호기의 경우 2021년 4월, 2호기는 지난해 3월 순차적으로 상업운전에 들어갔고, 올해 3호기까지 그간 운영허가 취득과 연료 장전 등을 무사히 마쳤고 글로벌 원전시장에서 보유한 기술력을 알리게 됐다.
특히 연료 장전 후 상업운전까지 걸린 시간은 2호기보다는 4개월, 1호기보다는 5개월 단축됐다. 바라카 원전을 포함한 국내외 원전 10기에 적용된 APR1400도 현재까지 이상 징후없이 건설·운영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전 관계자는 “바라카 원전의 4개 호기를 동시에 건설하는 과정에서 축적한 경험을 바탕으로 국제표준과 기술기준을 준수하며 기간을 단축시켰다”며 “원전 도입 초기엔 불시 정지 발생빈도가 높지만, 바라카 원전은 재작년 11월 이후 불시 정지가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술력과 안전성을 충분히 입증한 결과로 한국형 수출원전인 APR1400이 글로벌 원전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아랍지역 최초 상업용 원자력발전소이자 최대 청정에너지원으로 자리매김한 UAE 원전이 글로벌 에너지 위기 속 현지에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UAE는 2050년 넷제로 달성을 목표로 원전을 청정 에너지원으로 활용한다는 구상이다. 한전은 이와 관련 오는 11월 두바이에서 열릴 기후변화협약당사국총회(COP28)을 앞두고 상업운전을 개시했다는 데 큰 의미를 뒀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마지막까지 성공적으로 사업을 원수하기 위해 원전 ‘팀코리아’의 대표로서 책임감을 갖고 매진하겠다”며 “UAE와 수소 생산, 슈퍼그리드 등 포괄적인 에너지분야로 협력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 소주값 '6000원' 시대?… 정부, 주류업계 실태 조사 착수
- 김기현, 울산땅 투기의혹에 "수사 의뢰할 것, 사실이면 정계 은퇴"
- 정유업계 "도매가격 공개, 시장 흔들 것"… '석유제품 도매가 공개' 저지 총력
- 현대제철 통합보고서, 美 LACP 주관 어워드서 2년 연속 '금상' 영예
- 1년간 프로포폴 투약만 '73회'… 경찰, 배우 유아인 상습투약 기록 확보
- "정순신 아들 학폭보다 부모 대응 더 나빴다"… 네티즌 분노 확산
- 국회 27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민주, 이탈표 방지 총력전
- 한국 사회 가족관 대격변… 2030 여성 4%만 "결혼출산은 필수"
- 고금리에 이자부담 떠안은 '취약차주'… 은행권 연체율도 급상승
- 한전, 상임감사위원에 행정학 교수 출신 임명
- 한전, 미래 전력분야 인재 '107명' 선발… 장학금 전달
- 정부, 원전·방산 총력 지원… 인프라 수출 폴란드·쿠웨이트로 확대
- 한전 "친환경·에너지 스타트업, 글로벌 수준 경쟁력 확보 지원"
- [K원전 초격차 ②] 수출 새무기 원전, 정부가 밀고 기업이 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