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정부 수출 플러스 전략’, 원전·방산 등 맞춤형 지원책 발표
중동·유럽서 대형 프로젝트 추가수주 겨냥, 수출 역동성 제고
추경호 부총리 “신 수출 동력에 전폭 지원, 경쟁력 강화할 것”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정부가 올해 수출 목표를 상향하는 동시에 원전, 방위산업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 대해 수주 역량을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2일 정부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3일 윤석열 대통령 주재한 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3년 수출 플러스 전환을 위한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에는 해외에서 이뤄지는 대형사업 수주를 위한 방안 등이 담겼다.
특히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하기로 한 분야는 원전과 방산이다. 우선 원전 수주 확대를 위해선 체코, 폴란드 등 국가별 맞춤형 전략을 내놨다. 원활한 계약 등에 초점을 맞췄고, 해외수출 노형(APR1000 등)의 수출절차 간소화 등 규제도 완화할 예정이다.
반도체 업황 침체기 속 무역수지가 12개월 연속 적자 수렁에 빠지자 수출 역동성 제고를 위한 전략으로 읽힌다. 이에 정부는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확정한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을 신속히 이행해 수출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기로 했다.
전 세계가 경기 둔화 국면에 진입하는 등 녹록지 않은 상황에서 총력을 다해 수출 플러스를 달성하겠다는 윤석열 대통령의 의지도 반영됐다. 수출 회복에는 원전이 중심이 될 전망으로 방산과 전기차, 배터리 등도 핵심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에 맞춰 방산분야 수출 확대도 목표로 제시했다. 이와 관련 현재 20곳인 방사선도무역관을 31곳으로 늘리는 동시엔 종합수주지원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방산 수출지원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지난해 역대 최대 수출실적을 낸 국내 방산기업을 밀어주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중동시장의 잠재적 수요국으로 꼽히는 오만, 카타르, 쿠웨이트 등에서 추가 수주를 목표로 하고 있다.
실제 방산업계는 정부 지원에 힘입어 관련 국가들에서 수주 기회를 지속 모색 중이다. 업그레이드된 성능과 빠른 납품, 현지 요구사항 충족 등을 앞세워 올해 수출 호조세를 이어간다는 각오다. 원전은 중동을 넘어 유럽 문을 두드리고 있다.
정부는 또 핵심 국정과제로 오는 2030년 원전 10기 수출로 정했고, 현재 폴란드를 비롯한 체코 등 각국과 긴밀한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수출 부진을 털어낸다는 각오로 무역금융의 경우 363조원, 수출지원에는 1조5000억원이 각각 투입된다.
산업부와 기재부 등 각부처에서도 구체적인 수출목표를 설정하고 이행 실적을 꼼꼼하게 관리하는 협업체계를 구축해 수출전략회의 등에 정기적으로 보고하기로 했다. 이외에도 반도체와 배터리, 전기차, 고부가가치 선박 등 미래산업 12개 분야의 신수출동력 확보 전략도 나왔다.
정부는 기존 수출 주력산업인 반도체의 경우 투자세액공제 상향과 시스템반도체·반도체 후공정 기술개발, 전문인력 15만명 양성 지원 방안 등을 제시했다.
추경호 기획재정부 장관 겸 경제부총리는 이와 관련 “반도체 경기 반등 없이는 당분간 수출 회복 제약이 불가피하다”며 “신 수출 동력에 프로젝트 수주, 판로개척 등 맞춤형 지원으로 경쟁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추경호 "반도체 경기 반등 없으면 당분간 수출 어렵다"
- 무역수지 12개월 연속적자… 수렁에 빠진 무역한국
- "푸틴, 미국 방산업체 최고 영업사원"...우크라전쟁에 글로벌 무기수요 '폭발'
- UAE '한국형' 바라카 원전 3호기 첫 상업가동 시작
- 정부 '경기 둔화' 첫 인정… 수출부진에 기업심리도 악화
- 대한항공·아시아나 합병, 이제 미국·EU·일본만 남았다
- [메타센서] 오늘부터 다주택자 대출규제 완화… 집값 '구원투수' 될까
- 삼성전자·SK하이닉스 1분기 반도체 '6조원' 적자 전망… 부진 언제까지?
- 1월 반도체 재고율 265%… 26년만에 최고
- K-방산 5사 수주잔고 마침내 100조원 넘었다… 새로운 주력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