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2월 수출입 동향 발표
반도체 42.5% 급감해 '반토막'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한국 경제를 견인하던 수출이 5개월 연속 마이너스 성장했다. 반면 수입은 늘어나 무역적자 행진이 1년째 이어졌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액은 501억달러(66조3825억원)로 지난해 같은달(541억6000만달러)보다 7.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수출액이 전년 대비 16.6% 감소한 지난 1월에 비해서는 감소 폭이 둔화했다. 산업부는 지난해 2월 수출이 동월 기준 역대 최고 실적을 낸 효과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 있다.
수출은 글로벌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지는 가운데 반도체 업황 악화의 직격탄을 맞아 지난해 지난해 10월부터 5개월째 감소세가 지속했다.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 반도체가 제품 가격 하락으로 2월 수출액은 지난해 42.5%(44억달러) 비해 절반 가까이 급감하면서 7개월째 내리막이다.
2월 수입은 554억달러로 3.6% 증가했다. 에너지 수입이 지난해보다 19.7% 늘어난 영향이 컸다.
무역수지는 53억달러 적자를 기록해 지난해 3월부터 1년째 적자다. 다만 적자 폭은 역대 최대였던 지난 1월(127억달러)에 비해 절반 이상 줄었다.
무역적자가 12개월 이상 이어진 것은 1995년 1월~1997년 5월 연속 적자 이후 25년여 만이다.
정부는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지난달 제4차 수출전략회의에서 확정한 범정부 수출확대 전략을 이행해 강력한 수출 드라이브를 건다는 방침이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범부처 수출상황점검회의를 매달 개최해 올해 수출 목표로 제시한 6850억달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정부와 기업이 ‘원팀’으로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현대엔지니어링, 캐나다 알버타주와 SMR 사업 개발 논의
- 중국, 우크라전쟁 최대 수혜...러시아 단물 다 뽑는다
- 권영수 LG엔솔 부회장, 배터리산업협회 7대 회장에 올라
- 푸틴 "중국과 교역 확대는 필수적...올해 목표는 2000억 달러"
- 구자열 무협회장 "현장 애로 개선 등 협회 본연의 역할 충실할 것"
- IBK기업은행, 中企 복합위기 극복 지원 기업대출 출시
- 한-UAE 정상회담, 37조원 투자유치 잭팟...낙타고기 오찬으로 우의
- 르노코리아 협력업체들, 배 없어 차 만들고도 수출 못한다 '눈물'
- 미, "반도체기업 보조금 받으면 초과이익 공유"… 삼성·하이닉스 신청할까
- 정부, 원전·방산 총력 지원… 인프라 수출 폴란드·쿠웨이트로 확대
- 반도체 수출 '털썩'… 3월 초순 수출액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