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엄격해진 평가 기준에도 3개차종 TPS+ 선정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현대자동차그룹의 4개 차종이 올해 기준이 한층 강화된 미국 충돌평가에서 최고 수준의 충돌 안전 및 예방 성능을 인정 받았다.
현대자동차의 경우 팰리세이드가, 기아에선 텔루라이드, 제네시스 G90 등이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을 획득했으며, 현대차 쏘나타 모델에는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이 부여됐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고속도로 안전보험협회(IIHS)가 발표한 충돌평가에서 3개 차종이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에, 1개 차종이 '톱 세이프티 픽(TSP)' 등급에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매년 미국시장에 출시된 차량의 충돌 안정 성능과 충돌 예방 성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결과를 발표한다.
최고 안전성을 나타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양호한 수준의 성적을 낸 차량에는 TSP 등급을 매긴다. 올해 충돌평가에서는 더욱 강화된 평가 기준이 적용됐으며, 측면 충돌평가는 차량과 충돌하는 물체가 기존 약 1497kg에서 약 1896kg으로 더 무거워졌다.
또 충돌하는 속도도 약 49.8 km/h에서 약 59.5km/h로 빨라져 충격 에너지가 82% 증가했다. 보행자 충돌 방지 평가는 기존에 없던 야간 테스트가 추가됐고 헤드램프 평가도 TSP와 TSP+ 모두 전체 트림에서 '양호함' 등급 이상을 받아야 한다는 조건이 추가됐다.
전반적으로 최고 등급을 획득하기가 까다로워졌지만, 텔루라이드는 전체 평가항목에서 최고 등급을 획득해 뛰어난 안전성을 입증했다. 팰리세이드와 G90 역시 지난해 이어 올해도 TSP+ 등급을 받았다.
반면 충돌 평가 기준이 강화되면서 지난해 TSP 이상 등급을 받았던 차량은 지난해 101개에서 올해 48개로 대폭 줄었다. TSP+ 등급을 받은 모델은 65개에서 28개로, TSP 등급 모델은 36개에서 20개로 감소했다.
현대차그룹은 비(非) 일본계 완성차업체 중 1위를 차지했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이와 관련 “기존보다 엄격해진 IIHS 충돌 테스트에서 주요 모델들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며 “앞으로도 고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브랜드로서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고금리에 이자부담 떠안은 '취약차주'… 은행권 연체율도 급상승
- 원희룡 국토장관 "노임만 챙기는 건설 근로자, 근원까지 뿌리뽑을 것"
- 한국 사회 가족관 대격변… 2030 여성 4%만 "결혼출산은 필수"
- 국회 27일 '이재명 체포동의안' 표결… 민주, 이탈표 방지 총력전
- "정순신 아들 학폭보다 부모 대응 더 나빴다"… 네티즌 분노 확산
- 김주현 금융위원장 "기준금리 동결, 은행권 대출금리 인하 여력 있을 것"
- SK쉴더스 눈독 들이던 발렌베리, 결국 경영권 인수...한국 사업 첫발
- "현대차 생산직은 로또" 첫날부터 홈피 마비… 20만명 몰린다
- 국내 완성차업계 2월에도 쌩쌩… 르노만 뒷걸음
- '입이 벌어지는 기본 옵션' 현대차, 2024팰리세이드 출시
- 쏘나타·K5, IIHS 충돌시험서 안전도 '최하' 점수 받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