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 수출은 38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2% 줄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 수출은 38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2% 줄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중국의 주요 교역국 가운데 올 1분기 한국의 대(對)중국 수출 감소 폭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한국의 관세청 격인 중국 해관총서의 무역 통계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한국의 대중 수출은 382억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2% 줄었다. 중국의 1분기 전체 수입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7.1% 감소한 가운데, 중국 해관이 '주요 국가·지역'으로 분류하는 23곳 가운데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 폭이 가장 컸다.

같은 기간 대만의 대중 수출 감소율이 28.0%, 일본의 대중 수출 감소율은 19.5%로 나타났다. 반도체를 포함해 각종 수출통제에도 미국은 1.7%로 감소 폭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국가별 1분기 대중 수출은 미국(463억5000만 달러), 대만(444억3000만 달러), 호주(391억2000만 달러), 일본(386억달러), 한국(382억달러) 순을 보였다.

한국의 대중 수출 감소는 반도체 수출 부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국무역협회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1분기 한국의 전체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40% 감소했다. 대중 반도체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 4분기 -31.7%에서 올해 1분기 -44.5%로 더 악화됐다.

중국 내수 회복 부진도 한국의 대중 수출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은 '중국 리오프닝의 국내 경제 파급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중국의 리오프닝 이후 수입 의존도가 낮은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를 중심으로 소비가 빠르게 회복되는 반면 휴대폰, 자동차 등 내구재 소비는 감소하면서 관련 최종재와 중간재 수입이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