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 발행 계획 한국서 소개
월드코인, 월간사용자 1억명 목표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가운데)가 지난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간담회 ‘월드코인 밋업‘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해시드 제공
샘 올트먼 오픈AI 대표(가운데)가 지난 10일 오전 서울 강남구 해시드라운지에서 열린 간담회 ‘월드코인 밋업‘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사진=해시드 제공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개발자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월드코인’ 가상자산 발행에 대한 계획을 한국에 소개했다.

올트먼 대표는 10일 강남구 해시드라운지에서 개최된 ‘월드코인 서울 밋업’ 행사에 참석해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추후 사업 계획 등을 밝혔다. 이날 행사에는 월드코인 공동대표이기도 한 올트먼 대표와 알렉스 블라니아 월드코인 창립자, 블록체인업계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올트먼 대표는 2019년부터 월드코인이라는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월드코인은 ‘오브(Orb)’라는 홍채 인식 디바이스를 통해 사람의 홍채를 데이터화해 블록체인에 연결한다. 블록체인 생성에 기여한 이들에게 발급하는 가상자산이 바로 월드코인이다.

장기적으로 월드코인을 사회 기본소득으로 나눠주는 프로젝트를 추진하겠다는 것이 올트먼 대표와 월드코인 측의 구상이다. 월드코인은 지난 8일 이더리움 기반의 가상자산 관리용 지갑 애플리케이션(앱) ‘월드 앱’을 전 세계 80여개국에 출시했다.

이날 행사에서 올트먼 대표에게는 블록체인 및 AI와 관련한 다양한 질문이 쏟아졌다.

올트먼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이 아직 특이점에 도달하지 못했고 규제 정책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지만 “AI와 같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본다”고 진단했다.

AI가 사람의 일자리를 빼앗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에 대해선 오히려 사람들을 해야 할 일에서 해방시켜 인간 본연의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라고 전망했다.

아울러 올트먼 대표는 한국을 ‘기술적 강국’이자 가상자산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나라로 평가하면서 월드코인 입장에서도 매우 중요한 시장이라고 강조했다.

월드코인의 목표는 1억명의 사용자를 확보하는 것이다. 1억명 이상의 월간활성사용자(MAU)를 확보하면 네트워크 규모가 커져 실제 유용한 프로젝트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올트먼 대표는 “거대한 네트워크를 확보하는게 정말 중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