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은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서울와이어 DB
사진은 여의도 증권가 전경.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주요 증권사들이'제2의 무더기 하한가 사태'에 포함된 5개 종목들에 대해 증거금률을 100%로 높이고 신용대출 등에서 제외하는 등 조치에 나섰다.

KB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일부 증권사들은 작년말부터 이들 종목의 선제적 조치를 취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전날 오후 6시부터 유가증권시장 상장사인 동일산업, 대한방직, 만호제강, 방림, 코스닥 상장사인 동일금속 등 5개 종목을 위탁증거금 100% 징수 종목에 추가하면서 신용융자 및 담보대출 종목에서 제외했다.

이밖에 삼성증권, 키움증권, 대신증권, 현대차증권도 이들 종목에 대해 위탁보증금률을 100%로 변경하면서 신규 신용 및 대출 거래를 제한했다. 

일부 증권사에선 작년 말부터 해당 종목이 신용거래 불가 명단에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KB증권은 동일산업, 대한방직, 방림, 동일금속 등 4개 종목을 작년 12월 19일 신용거래 불가 종목으로 지정했다. 만호제강의 경우 지난 달 3일 신용거래 불가 종목으로 변경했다.

신한투자증권은 지난 4월 말 소시에테제네랄(SG)증권발 폭락사태가 터지고 나서 5개 종목을 신용융자 불가 종목에 올렸고, 미래에셋증권 역시 지난 달 중순께 5개 종목의 신용거래 중단 등을 조치했다.

아울러 한국투자증권은 동일산업, 동일금속, 방림, 대한방직 등 4개 종목을 지난 4월 28일부터 신용대출 불가 종목으로 지정했으며 만호제강은 지난 달 17일부터 신용 제한 조치를 내렸다. 다올투자증권은 대한방직과 만호제강의 신용거래를 작년 12월 27일부터 제한했고, 대신증권도 이미 대한방직을 대출 불가 종목으로 분류해놓은 상태다.

전날 동일산업, 만호제강, 동일금속, 대한방직, 방림 등 5개 종목은 거의 동시에 일제히 하한가로 장을 마감해 시장에서 시세 조종 등 불공정거래와 연루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는 지난 4월24일 무더기 하한가를 맞은 8개 종목의 특성과 유사한 모습을 보였다. 다만 당시에는 외국계증권사인 SG증권이 매도 창구 상위에 올라있었지만 이번에는 국내 대형 증권사들로 다양하게 구성됐다.

한국거래소는 이들 5개 종목에 대한 매매와 신규호가 접수를 이날부터 중단하고 불공정거래 풍문에 관한 조회공시를 요구했다.

금융감독원과 거래소는 유사 투자자문업자 홈페이지나 블로그, 카페 등의 게시물 내용 등을 통해 위법 행위를 점검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