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대 평면도 기반 집안 이미지 제공, 직관적인 사용성 돋보여
아파트 외 타운하우스, 공유주택 등 다양한 주거에 적용 계획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싱스를 적용한 스마트 아파트에 '맵 뷰' 기반의 홈 사물인터넷(IoT) 솔루션을 새롭게 선보인다고 6일 밝혔다.
삼성전자는 2020년 서울 서초구 삼성물산 래미안 리더스원을 시작으로 삼성물산, 포스코건설, 대우건설, 현대건설 등 주요 건설사 아파트 단지에 스마트싱스 홈 IoT 솔루션을 적용해 스마트 아파트 시대를 열었다. 이 스마트 아파트는 총 13만 세대 이상으로, 국내 가전 업체로서는 가장 큰 규모이다.
스마트싱스 홈 IoT 솔루션은 ▲집 안의 가전제품, 조명, 냉·난방기, 환기 장치, 전동 블라인드·커튼 등 다양한 기기를 한 곳에서 제어하고 ▲엘리베이터 호출, 주차 정보, 무인 택배 관리, 방문 차량 등록 등 편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 가능해 편리한 아파트 생활을 만들어준다.
스마트 아파트를 연결하면 입주자가 직접 기기의 위치를 설정할 필요 없이 공간별로 기기를 자동으로 연동·분류해준다. 전체 기기를 모두 보여주는 것 외에 냉난방 기기, 공기질 기기, 천장 조명, 전력 사용량 등 콘셉트별로 관련 기기만 모아 표시할 수도 있다.
타운 하우스와 같은 프리미엄 단독 주택과 최근 인기를 얻고 있는 공유 주택 등 아파트 외 다양한 주거 형태를 대상으로도 스마트싱스가 제공하는 홈 IoT의 가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박찬우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부사장은 "삼성전자 스마트싱스 홈 IoT 솔루션은 이번에 업데이트 됀 '맵 뷰' 기능으로 집안 곳곳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해 보다 차별화된 사용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앞으로 아파트는 물론, 다양한 주거 형태에서도 생활의 격을 높일 수 있는 홈 IoT 솔루션을 선보이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차세대 파운드리 전략 공개… "AI 시대 주도할 것"
- [CEO투데이] 초격차 속도내는 '승부사' 최윤호 삼성SDI 사장
- 사업기간 3분의 1 단축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마음 급해진 1500명 청약통장 사용했다
- 올 상반기 33명 총수 주식재산 1.4조 증가… 1위는 이재용 회장
- 삼성전자, D램·파운드리 최고기술책임자 전격 물갈이… 제품 변화 있나
- 삼성전자 반도체 적자에 성과급 25%로 '뚝'…흑자낸 가전부문도 같아 논란
-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전년비 90% 이상 추락… '반도체쇼크' 지속
- 삼성전자, 미국·유럽 이어 국내 소비자 맞춤형 '게임 포털' 오픈
- 삼성전자 '비스포크 고즈 온' 광고 영상, 누적 조회수 2000만뷰 돌파
- 삼성전자 비스포크 오븐, AI 기반 '카메라 식품 인식' 기능 탑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