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파운드리·SAFE 포럼 코엑스서 개최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반도체 생태계 강화를 위한 차세대 파운드리 전략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4일 서울 코엑스에서 ‘삼성 파운드리 포럼(SFF) 2023’과 ‘삼성 어드밴스드 파운드리 에코시스템(SAFE) 포럼 2023’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에서 삼성전자는 100여개의 파트너와 함께 ‘고객의 성공’이라는 공동 목표를 제시하고 반도체 공정 설계 지원 키트인 ‘PDK 프라임’ 솔루션 등 8인치부터 최첨단 2나노 GAA 공정까지 팹리스 고객의 최첨단 제품 설계 인프라를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공유했다.
삼성전자는 PDK 사용 편의성을 강화해 고객의 효율적 제품 설계를 지원하는 PDK 프라임 솔루션을 올해 하반기부터 2나노, 3나노 공정 팹리스 고객에게 제공하며 8인치와 12인치 레거시 공정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이번 포럼에는 국내 주요 팹리스 기업인 LX세미콘, 리벨리온, 딥엑스 등이 세션 발표에 참가해 삼성전자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AI·저전력 반도체를 개발한 성과를 소개했다.
또 삼성전자는 다품종 소량 생산을 위한 최첨단 ‘멀티 프로젝트 웨이퍼(MPW)’ 서비스 현황과 계획, 국내외 시스템 반도체 연구개발 생태계 강화 방안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AI, 고성능 컴퓨팅, 모바일 제품 설계에 활용 가능한 첨단 4나노 공정의 MPW 서비스를 지난 4월 처음 시작했다. 이어 8월과 12월에 걸쳐 올해 세 차례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4나노를 비롯한 MPW 서비스를 올해보다 10% 이상 제공하는 등 국내외 팹리스 고객의 시제품 제작 기회를 지속 확대한다.
아울러 국내 대학과의 추가 협력을 통해 미래 반도체 기술과 인재 양성, 혁신 생태계 구축을 적극 추진한다. 국내 대학에 제공 중인 14나노 MPW 공정을 해외 대학에도 제공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삼성전자는 올 하반기 평택 3라인에서 파운드리 제품을 양산하고 내년 하반기 테일러 1라인 가동, 2025년 8인치 질화갈륨(GaN) 전력반도체 파운드리 서비스 시작 등 고객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도 밝혔다.
질화갈륨은 차세대 전력반도체로 실리콘 반도체의 한계를 극복해 시스템의 고속 스위칭과 전력 절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시영 삼성전자 파운드리사업부 사장은 “AI 적용 분야가 빠르게 확산하고 특히 다양한 개별 서비스에 특화한 엣지의 폭발적인 성장이 예상된다”며 “삼성전자는 고성능 AI 반도체에 특화된 최첨단 공정과 차별화된 스페셜티공정, 그리고 글로벌 설계자산(IP) 파트너사와 긴밀하고 선제적인 협력을 통해 AI 시대 패러다임을 주도하겠다”고 말했다.
- 올 상반기 33명 총수 주식재산 1.4조 증가… 1위는 이재용 회장
- 삼성전자, D램·파운드리 최고기술책임자 전격 물갈이… 제품 변화 있나
- 삼성디스플레이, 美서 中 BOE에 소송…"OLED 특허 침해"
- 삼성전자, 7월 한달 간 '장마철 안심건조 뽀송 페스타' 실시
- 삼성전자·UNDP, '제너레이션 17 프로젝트' 참여 청년리더 추가 선정
- 삼성전자, 미 파운드리 포럼서 "시장 리더십 강화" 청사진 제시
- 이재용, 머스크 만났다…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의기투합했나
- 삼성전자, 파운드리 5년 만에 매출 200억달러 돌파… 5년내 TSMC 추격?
- "전기차 충전이 미래 먹거리"...10대그룹 중 6곳 혈투
- 삼성전자, '맵 뷰' 기반 스마트싱스 홈 IoT 솔루션 선봬
- 삼성전자 반도체 적자에 성과급 25%로 '뚝'…흑자낸 가전부문도 같아 논란
- 삼성전자, 미국·유럽 이어 국내 소비자 맞춤형 '게임 포털' 오픈
- 삼성전자 '비스포크 고즈 온' 광고 영상, 누적 조회수 2000만뷰 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