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이재형 기자]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와 만나 미래 첨단산업 분야 협력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14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장은 지난 10일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삼성전자 북미 반도체연구소에서 머스크 CEO와 만났다. 이 회장이 머스크 CEO와 별도 미팅을 가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머스크 CEO는 세계 최대 전기차 기업인 테슬라 뿐 아니라 ▲차세대 위성통신(스타링크) ▲우주탐사(스페이스X) ▲차세대 모빌리티(하이퍼루프) ▲인공지능(뉴럴링크·오픈AI) 등 첨단 기술 분야의 혁신 기업들을 이끌고 있다.
삼성과 테슬라는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공동 개발을 비롯해 차세대 IT 기술 개발을 위한 교류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이번 만남이 관심을 끈다. 삼성전자의 전자용 시스템반도체 영토 확대 기대감도 흘러나온다.
삼성전자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 반도체 생산 경험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자율주행 카메라 및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 '모빌아이'의 고성능 반도체 위탁 생산 주문을 따내며 전장 부품 시장에서 존재감을 키우고 있다.
한편 이 회장은 2014년 경영 전면에 나선 이래 가장 긴 해외출장을 마치고 지난 12일 새벽 귀국했다.
- 삼성전자 노조의 벼랑끝 '발등 찍기'?… "국제적 불매운동 벌이겠다"
- [메타센서] 이재용 회장이 제2의 반도체로 찍은 바이오…가능할까
- 이재용, 글로벌 제약사 연쇄회동… "반도체 성공, 바이오로 이어가자"
- [K반도체 생존전략 ②] 대통령 방미·K칩스법… '리스크' 완화 기대
- 윤 대통령, 5박7일 미국 국빈 방문...바이든과 안보·경제 담판
- [기자수첩] 한국 반도체 미래, 삼성전자의 선택에 달렸다
- 삼성·LG전자, 에어컨 시장점유율 놓고 '신경전'
- 미 법원, 머스크 테슬라 경영 트윗 '원천차단'
- 반도체 재고 쌓이고 쌓여 '50조'… 암흑기 탈출 언제쯤?
- 삼성전자 "초격차 기술로 불황 돌파"… 최선단 DDR5 양산 본격화
- 미국 공급망 중국 배제?… 테슬라·엔비디아는 중국에 러브콜
- 삼성전자, 차세대 파운드리 전략 공개… "AI 시대 주도할 것"
- 한국이 만든 탑재체, 미국 달착륙선에 실린다
- 머스크 “사람 뇌에 ‘컴퓨터 칩’ 심는다"… 임상 참가자 모집
이재형 기자
ljh@seoulwire.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