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협상' 결렬에 사측 상대 압박 수위 끌어올려
"노사협의회 아닌 노조와 대화해야, 파업도 불사"
무노조경영 지적, 해외서 삼성 불매운동 예고까지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합법적 파업 카드를 쥔 삼성전자 노동조합이 사측에 대한 압박의 수위를 올리고 있다. 앞서 노조는 올해 임금협상 관련 사측과 협상이 결렬되자 중앙노동위원회(중노위)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으며, 쟁의권을 확보한 상태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전국 삼성전자 노조는 지난 4일 서초 사옥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최고경영진들이 직접 대화에 나서라고 촉구하는 등 실제 파업까지 불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엔 '국제적 불매운동'까지 예고하면서 사측을 향한 압박 수위를 최고로 끌어올리는 모양새다.
노조에선 현재 사측이 협상에 임하는 태도 등을 지적하면서 ”지난해 이어 올해도 비상식적으로 노조 대신 노사협의회를 통해 임금 협약을 체결하는 불법을 자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노조협의회는 회사를 대표하는 사용자 위원과 직원을 대표하는 근로자 위원이 참여해 임금 등 근로조건을 협의하는 기구다. 사실상 협의회가 사원들을 대표한 단체로서 사측과 임금협상을 진행해왔고, 평균 임금 인상률 4.1%로 합의했다.
이에 노조는 서초 사옥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노조와 교섭 중인데도 직원들이 원한다는 이유로 일방적으로 임금조정안을 발표·적용하려 한다”며 “초라한 임금인상보다 큰 문제는 노사협의회와 협상을 진행해 갈등을 부추기고 무노조 경영 행태를 이어가려는 사측의 태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손우목 노조 위원장은 협의회 성향에 대해서도 비판했다. 손 위원장은 “직원을 대표하는 권한이 없음에도 임금조정안에 합의하고 친사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고 협의회 활동 방향에 대한 날을 세웠다.
여기에 상급 단체인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까지 가세했고, 해외 곳곳에서 삼성 불매운동에 나서겠다는 협박성 발언도 서슴지 않았다.
업계에선 강경 발언을 쏟아낸 노조가 파업 등 구체적 행동에 들어갈지 주목하고 있다.
다만 노조 행보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는 직원들도 적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최근 반도체 한파 속 영업적자를 기록한 회사가 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등의 지적도 잇따랐다.
업계 관계자는 “회사 사정을 더 잘 아는 노조의 겁박은 어려운 시기 더욱 혼란을 가중시킬 뿐”이라며 “해외 불매운동의 경우 모두 죽자는 것과 다름없으며, 대화를 통한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실제 노조는 파업 쟁의권을 확보했으나, 파급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상황을 지켜보겠단 입장이다.
이현국 노조 부위원장도 “임금투쟁이 아니라 노조를 인정해달라는 투쟁으로 봐 달라”며 “이재용 회장의 대국민 사과가 진심이었다면, 노사협의회가 아닌 노조와 임금 합의를 해야 했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