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수 소비자물가지수, 지난해보다 10.8% 올라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지난달 생수 물가 상승률이 1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제주삼다수와 아이시스 등 주요 생수 제품 가격이 줄줄이 올랐기 때문이다.
1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생수 소비자물가지수는 112.09로 지난해 같은기간 보다 10.8% 올랐다. 이는 2012년 6월(11.6%) 이후 11년 만에 최고치다.
생수의 물가 상승률은 1월 0.4%에서 2월 7.3%로 크게 올랐고 3월 10.1%, 4월 10.2%로 상승 곡선을 더 그리다가 5월 9.3%로 약간 둔화했으나 지난달 다시 반등했다.
생수 물가 상승률이 기록적인 수준을 보인 것은 주요 생수 제품 가격이 인상됐기 때문이다.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12월부터 아이시스 등 생수·음료 제품 출고가를 평균 8.4% 인상했다. 아이시스는 제주삼다수에 이어 생수 시장점유율 2위 제품이다.
유통 채널별로 인상 시점이 달라 편의점 가격은 3월부터 적용돼 500㎖ 제품의 가격은 950원에서 1100원으로 15.8%, 2ℓ 제품은 1700원에서 1950원으로 14.7% 각각 인상됐다.
지난 2월에는 제주도개발공사가 생수 시장점유율 1위 제품인 제주삼다수 출고가를 평균 9.8% 올렸다. 이는 2018년 이후 5년 만의 가격 조정이었다.
제주도개발공사 관계자는 “페트 가격이 3년 전보다 3배 이상 올랐고 배를 이용해 제품을 실어 나르는데 유가에 따른 물류비용도 올라 5년 만에 가격을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해태htb도 2월부터 강원평창수 제품 가격을 인상했고 동원F&B는 지난 4월 대리점 경로에 한해 동원샘물 가격을 4% 인상했다. 또 일부 편의점 역시 올 4월부터 자체브랜드(PB) 생수 가격을 100∼200원씩 인상했으며 수입 생수들도 가격을 올렸다.
- 정부, 올해 성장률 1.6→1.4% 하향 조정… 물가상승률 3.3% 전망
- 윤 대통령, 해외 순방성과 공유… "투자유치는 기업 환경조성 결과"
- '라면값 내려라' 정부 압박 하루만에… 업계 "가격인하 검토"
- 이창용 "금통위원 6명 최종금리 3.75% 가능성 열어놔"
- 금통위, "물가안정에 중점…긴축기조 상당기간 이어갈 것"
- 한은, 기준금리 3.5%로 3회 연속 동결…성장률 1.4%로 하향조정
- 오늘 한은 금통위...기준금리 3회 연속 동결 유력
- 기준금리 3회 연속 동결되나… 역대 최고 '한미 금리차' 우려는 여전
- 롯데칠성음료, 추석선물용 가성비 와인세트 선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