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월여간 3.5%…시장 "사실상 금리인상기 끝났다"
하반기 인하 기대감↑…한미 금리차, 1.75%p 유지

[서울와이어 서영백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3회 연속 기준금리를 연 3.5%로 동결했다.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4%로 3개월만에 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25일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연 3.50%로 동결하기로 결정했다. 지난 2월과 4월에 이어 이달에도 세 번 연속 동결을 결정하면서 시장에선 사실상 금리 인상기가 끝났다는 신호로 받아들이고 있다.
한은이 이달 금리 동결을 결정한 배경은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압력이 점차 둔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까지 내려왔다. 물가상승률이 3%대로 떨어진 적은 지난해 2월(3.7%) 이후 1년 2개월 만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떨어진 만큼 굳이 무리하게 금리를 더 올려 가뜩이나 위축된 경기와 금융에 찬물을 끼얹을 이유가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불안한 국내 경기 상황도 금리 동결에 영향을 미쳤다. 올해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3%로 전년 동기 대비 0.8%의 낮은 증가세를 기록했다. 무역수지도 지난해 3월 이후 14개월째 적자를 기록하며 경상수지마저 악화되는 등 경제 상황도 좋지 않다. 무역수지는 지난달 26억2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하는 등 14개월째 마이너스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금통위가 이날 기준금리를 다시 동결하면서 미국과 격차는 1.75%포인트(한국 3.50%·미국 5.00∼5.25%)로 유지됐다.
이날 한은은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1.4%로 0.2%포인트 낮춰잡았다. 중국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가 기대보다 미미하고 수출 주력품인 반도체 업황이 바닥을 치면서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은 전망치 1.4%는 국내외 기관 가운데 최저 수준이다. 최근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수출 위축에 따른 경기 부진이 지속하는 상황을 감안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8%에서 1.5%로 하향 조정했다. 경상수지 흑자 규모 전망치는 275억달러에서 160억달러로 내린 바 있다.
글로벌 경기둔화 여파로 성장률 눈높이가 계속 낮춰지면서 이르면 올해 연말 금리인하 시기가 임박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수정 경제전망에서 현재 3.5%인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그대로 유지했다. 장기적인 시계에서는 인플레이션 압력이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하지만, 근원물가가 예상보다 더디게 꺾이고 있고, 최근 전기·가스요금 등 물가 인상 요인이 가세하면서 향후 물가경로의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어서다.
- [포토] 한은 본관 리모델링후 첫 금융통화위원회 개최
- [포토] 금통위 본회의 참석한 이창용 총재
- [포토] 금통위 주재하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 원/달러 환율, 전날보다 1원 내린 1317원선 출발 예상
- 오늘 한은 금통위...기준금리 3회 연속 동결 유력
- 채권시장 전문가 89% "6월 기준금리 동결 예상"
- 기준금리 3회 연속 동결되나… 역대 최고 '한미 금리차' 우려는 여전
- 미 연준 또 금리 0.25%p 올려 5.25%...한은 인상 압력 몰렸다
- 이창용 "금통위원 6명 최종금리 3.75% 가능성 열어놔"
- 이창용 "기준금리 절대로 못올린다고 생각 말아야...물가 보고 판단"
- 이창용 성장률 "1.4%로 하향조정…나쁜 전망 아니다"
- 구조 개혁 쓴소리 이창용 총재..."나라 망가지는 지름길"
- 주가 고공행진, 매출 2000억 바라보는 파마리서치… 고속성장 비결은?
- "물도 아껴 마셔야 할 판"… 생수값 11년 만에 '최고'
- 채권시장 전문가 93% "7월 기준금리 동결 예상"
- 7월 경상수지 35.8억달러 흑자에도 '우울'… 불황형 흑자 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