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달부터 시공사 선정시기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조정
시공사 선정 사업지 8곳→85곳으로 늘어나… 치열한 경쟁 예상
규제완화 본격적으로 적용… "선택지 많아진 것은 긍정적 신호"

서울시가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시기를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개정하면서 건설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시가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 시기를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개정하면서 건설사들의 치열한 경쟁이 펼쳐질 것으로 보인다. 사진=이태구 기자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시 재개발·재건축시장 총 사업비가 36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형건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2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달부터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시기를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조정하는 내용이 담긴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일부 개정안’을 시행한다.

서울시 조례 개정을 통해 시공사 선정이 가능해진 사업지는 기존 8곳에서 85곳으로 대폭 늘어난다. 재개발·재건축은 보통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조합 설립,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이주 및 철거 등 순으로 진행되는데 개정 이후 시공사 선정 시점이 최소 2년 이상 당겨진다.

업계에서는 시공사 선정이 가능한 사업지의 합산 추정공사비가 2조7500억원에서 36조400억원으로 대폭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강남구 압구정 3구역과 송파구 장미 1~3차 아파트, 성동구 성수1지구 재개발 등이 대표적이다.

수많은 조합에서 시공자 선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형건설사들이 수주경쟁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장안동 현대아파트 재건축과 신길역세권 사업 등 알짜배기 단지들이 수두룩하다.

지난해부터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대부분 건설사는 활로를 찾기 위해 몇몇 주요 단지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벌써 올해 정비사업 부문 수주고 1조원을 넘어선 곳도 나왔기 때문에 연말까지 경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에는 건설사들도 몸을 사리는 모습이었다. 청약시장 한파는 물론 미분양 문제까지 커지면서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는 각종 규제완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분위기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거는 기대가 더 클 수밖에 없다. 규제완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건설사들의 선택지가 많아질 것”이라며 “치솟는 건자재가격과 인건비, 시장 침체 등 고민은 여전하지만 수주 가능한 단지가 늘어난 것은 분명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