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달부터 시공사 선정시기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조정
시공사 선정 사업지 8곳→85곳으로 늘어나… 치열한 경쟁 예상
규제완화 본격적으로 적용… "선택지 많아진 것은 긍정적 신호"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서울시 재개발·재건축시장 총 사업비가 36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형건설사들이 치열한 경쟁을 펼칠 전망이다.
23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는 이달부터 도시정비사업 시공사 선정시기를 ‘사업시행인가 이후’에서 ‘조합설립인가 이후’로 조정하는 내용이 담긴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 조례 일부 개정안’을 시행한다.
서울시 조례 개정을 통해 시공사 선정이 가능해진 사업지는 기존 8곳에서 85곳으로 대폭 늘어난다. 재개발·재건축은 보통 정비구역 지정과 조합설립추진위원회, 조합 설립, 사업시행인가, 관리처분계획인가, 이주 및 철거 등 순으로 진행되는데 개정 이후 시공사 선정 시점이 최소 2년 이상 당겨진다.
업계에서는 시공사 선정이 가능한 사업지의 합산 추정공사비가 2조7500억원에서 36조400억원으로 대폭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다. 강남구 압구정 3구역과 송파구 장미 1~3차 아파트, 성동구 성수1지구 재개발 등이 대표적이다.
수많은 조합에서 시공자 선정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면서 대형건설사들이 수주경쟁에 사활을 걸 것으로 보인다. 장안동 현대아파트 재건축과 신길역세권 사업 등 알짜배기 단지들이 수두룩하다.
지난해부터 주택시장이 침체기에 빠지면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였으나 대부분 건설사는 활로를 찾기 위해 몇몇 주요 단지 수주에 적극적으로 나설 예정이다. 벌써 올해 정비사업 부문 수주고 1조원을 넘어선 곳도 나왔기 때문에 연말까지 경쟁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올 상반기에는 건설사들도 몸을 사리는 모습이었다. 청약시장 한파는 물론 미분양 문제까지 커지면서 수익성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오히려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었다.
하지만 하반기부터는 각종 규제완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되면서 분위기가 반전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상반기보다 하반기에 거는 기대가 더 클 수밖에 없다. 규제완화가 본격적으로 적용되기 때문에 건설사들의 선택지가 많아질 것”이라며 “치솟는 건자재가격과 인건비, 시장 침체 등 고민은 여전하지만 수주 가능한 단지가 늘어난 것은 분명히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 [메타센서] 집값 떨어졌는데 재산세 늘어… 1주택자들 분노한 이유는?
- '한국골프의 희망' 김주형, '디오픈' 준우승으로 시즌 상금 70억 돌파
- 수상한 '국제택배' 신고 2000건 육박… "주문 안한 소포 개봉 금지"
- '저출산 여파' 60만 대군 어느새 48만명으로… 4년새 15% 뚝
- [날씨] 전국 물폭탄 지속… 수도권 오후부터 소강상태
- LH, 한-베트남 경제협력 산업단지 15개 필지 공급
- "월 임대료만 8500만원"… 배우 이병헌, 옥수동 빌딩 240억원에 매입
- 현대건설, ESG 정보 담은 '2023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 DL이앤씨, 5401억 규모 '중동5구역 주택재개발' 시공사 선정
- HDC현산, 청주시 집중호우 수해복구 지원 위한 성금 기탁
- [메타센서] 너무도 지긋지긋한 장마, 이번 주 끝날까
- '신림동 악마의 칼부림' 피의자, 범행전 흉기 훔치고 무임승차까지
- 한일·현대시멘트 9월부터 가격 12.8% 인상… 분양가 또 오르나
- "빨리 사는 게 이득" 올해 서울 청약 당첨자 60% '30대 이하'
- 서울시와 갈등, 압구정 3구역 재건축 조합… 설계사 재공모 나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