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전기차 충전, 미래 먹거리"
모빌리티 분야의 강자로 사업 개편
카카오모빌리티와 합작법인 만들어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전기차와 모빌리티 전장사업에 푹 빠진 LG유플러스가 8일 열린 콘퍼런스콜에서 내년까지 국네 커넥티드카시장 점유율 1위, 3년내 국내 전기차 충전시장 톱3를 달성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또 LG유플러스는 홈 사물인터넷(IoT)를 포함한 2분기 전체 IoT 가입자가 전년 동기 대비 39% 성장했다고 밝히며 통신사를 넘어 국내 첨단 산업의 주축이 되겠다고 강조했다.
LG유플러스는 커넥티드카 사업 확장으로 IoT 부문이 급성장 했다고 분석한다. 올해 초부터 현대차그룹과 제휴를 확대해 제네시스를 비롯한 현대·기아차 전종에 무선통신회선을 제공하고 있다.
또 LG유플러스는 올해 출시되는 도요타 하이랜더를 비롯해 도요타 전 차종에도 날씨·스마트홈·음악·동영상 콘텐츠 등을 제공하는 통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제공할 예정이다. 하반기에는 화물 중계 플랫폼 서비스까지 론칭해 모빌리티 관련 신규시장을 더 확대해나간다는 목표다.
여명희 LG유플러스 최고재무책임자 겸 최고리스크책임자(전무)는 “2분기 수준의 IoT 가입자 성장 추이가 지속된다면 추후 통신3사 무선가입자 점유율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커넥티드카 등의 IoT 가입 성장폭은 또다른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커넥티드카뿐만 아니라 전기차 충전 시장 진출도 본격화한다. LG유플러스는 앞서 지난 6월 카카오모빌리티와 전기차 충전사업 합작 법인을 설립한다고 공시한 바 있다.
이날 콘퍼런스콜에서도 전기차 충전 사업에 관련된 계획이 언급됐다. 현재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의 전기차 충전 사업 합작 법인은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계 기관의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승인을 받아내는 대로 신사업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LG유플러스와 카카오모빌리티의 합작 법인은 전국의 공동주택 등 완속충전시장을 중심으로 사업을 시작할 방침이다. 이후 급속충전시장까지 외연을 넓혀나가며 향후 3년 내 국내 전기차 충전시장 톱3 내에 들어간다는 포부다.
권용현 LG유플러스 최고전략책임자(CSO·전무)는 “현재 공정위 승인 절차를 받고 있어서 연도별 전기차 충전 사업 계획이나 규모 등은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향후 설립 절차가 마무리되는 대로 구체적인 상황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LG유플러스는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 상승한 288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3조4293억원으로 1.3% 증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