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종별 수출 여건 면밀히 점검… "무역금융 등 지원 확대"
AI 반도체 활용 데이터센터 구축, 시제품 생산 지원 계획

추경호 부총리가 범부처적인 수출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추경호 부총리가 범부처적인 수출지원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본격적인 경제 반등을 위해서는 범부처적인 수출지원 역량을 한층 강화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17일 추 부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비상경제장관회의 겸 수출투자대책회의’를 주재하며 “정부는 주요 업종별 수출 여건을 면밀히 점검하고 무역금융·마케팅·해외인증 지원 등을 더욱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신산업 투자 촉진을 위한 현장애로 해소방안, 개인정보를 관리·활용하는 제도인 마이데이터 혁신방안 등,  공공선박 발주제도 개선방안 등이 논의됐다.

추 부총리는 “다각도로 추진 중인 품목·지역 다변화 등 구조적 수출 대책도 보완 및 추가지원 방안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며 “최근 중국의 방한 단체관광 재개 조치에 대응, 비자·교통 등 입국편의 제고,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방안도 신속히 마련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조속한 경제활력 회복을 위해서는 수출과 함께 투자 확대도 매우 중요한 만큼 투자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과감히 혁파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신산업 진입장벽을 완화하는 등 기업 투자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정책 지원 노력도 더욱 강화하겠다고 설명했다.

AI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국산 인공지능(AI) 반도체를 활용한 데이터센터를 조속히 구축하고 시스템 반도체를 개발하는 스타트업 기업 등을 위한 시제품 생산 지원도 대폭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발표했다.

또 배터리 구독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전기차와 배터리 소유권 분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의료데이터의 제3자 전송을 실현하겠다고 언급했다.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해 영상데이터 원본을 예외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추 부총리는 최근 중국의 방한 단체관광 재개 조치에 대응해 “비자·교통 등 입국편의 제고, 다양한 관광 프로그램 개발 등 중국인 관광객 유치 확대방안도 신속히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