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위변조 불가능한 블록체인 기술로 구현
구매자에게 30개월간 대여비, 무료이용권 지급
NFT, EZS 등 사업 영역 확장해 베트남지사 설립

[서울와이어 박동인 기자] 공유모빌리티 스윙이 블록체인 전문기업 ‘블록오디세이’와 함께 자산 추적 시스템 ‘스윙바이보츠’를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스윙바이보츠는 데이터 위변조가 불가능한 블록체인기술로 구현된 블록오디세이의 자산 추적 솔루션이다. 지난해 제1금융권은행과 함께 개념실증 과정을 거쳐 기술 타당성검증을 마쳤다.
가입자는 스윙 킥보드를 구매 후 대여로 ‘신개념 상품 구매’가 가능하다. 스윙은 구매자에게 30개월간 평균 7.5%의 대여비와 1시간의 스윙 기기 무료이용권을 지급한다. 킥보드 1대의 구매비는 75만원이며 30개월이 후에는 스윙이 재매입하는 방식이다.
스윙바이보츠 구매자는 스윙 마일즈라는 킥보드 육성 시뮬레이션에 참여할 수 있다. 스윙 플랫폼 내 운영되는 킥보드 중 하나를 자신의 소유처럼 지정해 주행거리, 경로, 결제요금 등 수익성 정보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지정한 킥보드를 다른 유저가 이용했을 때 결제금액의 10%를 스윙 포인트로 적립받는다. 포인트는 스윙 앱 내에서 다른 기기 이용시 현금처럼 사용 가능하다.
스윙바이보츠는 이용량이 높은 공유 마이크로모빌리티 업계에서 최초로 적용된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이다. 전문성과 정확성을 위해 두 달 여간 베타 테스트를 거쳤다.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돼 위변조가 불가능하다.
블록체인 전문기업인 ‘블록오디세이’가 개발한 자산 추적 솔루션 보츠(BOATS)의 적용이 특징으로,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동산자산의 거래·사용이력 데이터를 신뢰·관리하는 솔루션이다. 마이크로 모빌리티 외에도 중고차 시장 등에서 효용성을 입증했다.
블록오디세이는 스윙바이보츠 외에 유통이력관리·정품인증, 대체불가토큰(NFT) 발행·관리, 가상자산거래(EZS) 등 사업영역을 확장했으며 동남아시장 진출을 위해 베트남에 지사를 설립했다. 지난해 신한, KB, 하나 등 주요 금융사에게 360억원을 투자받아 고속성장했다.
스윙바이보츠를 기획한 정성화 더스윙 리더는 “평균 이율이 적용된 대여비가 있지만 전문 투자 보다 기존 킥보드 유저를 대상으로 기획됐다”며 “직접 투자로 킥보드 관리를 게임처럼 할 수 있으며 포인트를 통해 더 많은 이용까지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더스윙은 전동 킥보드, 자전거, 스쿠터를 합쳐 아시아에서 가장 많은 10만대의 모빌리티 기기를 보유한 기업이다. 2019년부터 시작한 후발주자임에도 업계 최초 3년 연속 흑자경영을 달성했고 지난해 한국회계기준(K-GAAP) 국내 업계에서 가장 많은 55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 공유 모빌리티 스윙, 서울경찰청 퍼스널모빌리티 안전교육 실시
- '타다 금지법' 타격 컸나… 구조조정으로 직원 절반 떠난다
- 스윙 대표 "서울시, 자동차 줄이기 선언 필요하다"
- 스윙, 지정 파킹존 반납시 '반값할인'… 서울시 주차개선정책 '화답'
- 스윙, 국내 최초 청소년 퍼스널모빌리티 안전교육 실시
- 더스윙, 공항콜밴 예약서비스 '스윙에어' 출시
- 디지털 자산 미래라더니…NFT 95% 2년만에 ‘휴지조각’
- 세단처럼 부드러운 '볼테르' 전기자전거 직접 타보니
- 스윙, 이제 프리미엄밴 부른다… 진모빌리티와 제휴
- 프랑스 전기자전거 '볼테르', 잠실 에비뉴엘로 판매망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