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 6억9000만원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 아파트 모습.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가구의 평균 자산이 비수도권과 비교해 7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은 6억9246만원이다. 비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 4억935만원과 비교하면 69.2% 더 많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자산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2018년 47.5%에서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격차가 커졌다.

자산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치솟은 부동산 가격이 꼽힌다. 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로 점차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총자산의 약 62%를 수도권 가구가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돼 있고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 조사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수치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김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며 자산·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있다”며 “비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본사와 유사한 규모의 지사를 신설하는 기업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지역 본사제’를 추진하고 지역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