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 6억9000만원

[서울와이어 김익태 기자] 수도권(서울·경기·인천) 가구의 평균 자산이 비수도권과 비교해 70%가량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김회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회입법조사처에 의뢰해 통계청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월 말 기준 수도권 가구 평균 자산은 6억9246만원이다. 비수도권 가구의 평균 자산 4억935만원과 비교하면 69.2% 더 많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구의 자산 격차는 점점 벌어지고 있다. 2018년 47.5%에서 2019년 53.6%, 2020년 59.6%, 2021년 65.6%, 지난해 69.2%로 격차가 커졌다.
자산 격차의 주요 원인으로는 수도권을 중심으로 치솟은 부동산 가격이 꼽힌다. 전국 가구 총자산 중 수도권 가구 총자산의 비율인 ‘수도권 집중도’는 2018년 57.8%에서 2019년 58.7%, 2020년 60.2%, 2021년 61.2%, 지난해 61.8%로 점차 증가했다.
지난해 기준 전국 총자산의 약 62%를 수도권 가구가 보유하고 있다는 의미다. 다만 자산에는 부채가 포함돼 있고 가계금융복지조사는 가계의 경제적 삶의 수준을 미시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전국 2만여 가구를 표본 조사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해 수치를 해석할 필요가 있다.
김 의원은 “기업, 인프라, 구직자, 인구 모두 수도권으로 쏠리며 자산·소득 격차가 확대되고 지역은 소멸 위기에 처하고 있다”며 “비수도권으로 본사를 이전하거나 본사와 유사한 규모의 지사를 신설하는 기업에 행정·재정적 지원을 제공하는 등 ‘지역 본사제’를 추진하고 지역 인프라 구축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가짜 다이아'로 380억 대출… 새마을금고 전 간부 징역 확정
- '귀경길 전쟁' 오후 4~5시 정체 정점… 부산→서울 6시간10분
- 美금융당국, 신한은행아메리카에 337억원 제재금 부과
- "피자·떡볶이 못 먹겠네"… 외식 물가상승률 '고공행진'
- 눈길 끄는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 분양 중인 '평택화양 서희스타힐스 센트럴파크' 관심 집중
- 프로모션·할인·무상점검… 추석 맞이 완성차업계 혜택총 정리
- 장거리 이동 복병 ‘급X’… 이것만 알아도 1시간 참는다
- 신한카드, 추석 당일 결제 '먹통'… 늦은 공지에 비판
- 올해 신규등록 택시 10대 중 4대는 '전기차'
- 노인에게만 위조지폐 내민 20대 커플… 항소심도 징역형
- 기업대출 1년간 130조원 급증… "금융기관 부실 우려"
- 상위 1% 가수 소득 이정도였어?… 배우보다 두배 많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