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석우 사장 "AI 스크린 시대 선도할 것"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삼성 퍼스트룩’ 행사를 통해 AI 스크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내놨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삼성 퍼스트룩’ 행사를 통해 AI 스크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내놨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 18년간 TV시장 1위로서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집약된 'NQ8 AI 3세대' AI 프로세서와 이를 탑재한 2024년형 Neo QLED 8K TV(QN900D)를 공개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CES 2024 개막 전 7일(현지시간) ‘삼성 퍼스트룩’ 행사를 통해 AI 스크린 시대를 열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삼성전자가 선보인 NQ8 AI 3세대 프로세서는 2020년부터 꾸준히 연구 개발해 온 AI 시스템온칩(SOC) 기술이 집대성된 결과물로 역대 삼성 TV 프로세서 중 가장 강력한 성능을 자랑한다. 

전년 대비 8배 많은 512개의 뉴럴 네트워크와 2배 빠른 NPU가 탑재됐다. 2024년형 Neo QLED 8K의 경우도 화질만큼이나 뛰어난 오디오 성능을 높였다는 평가다. 

화질은 AI의 다양한 기능을 통해 SD·HD·FULL HD 등 저화질로 전송되는 라이브 스포츠·콘서트, OTT 컨텐츠까지 직접 관람하는 듯한 경험을 선사한다. 

용 사장은 “삼성 AI 스크린은 가정의 중심에서 집안의 모든 기기를 연결·제어하는 ‘AI 홈 디바이스’의 중심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차세대 AI 프로세서와 타이젠 OS를 바탕으로 기존 스마트 TV를 넘어 새로운 삶의 방식을 선사하는 ‘AI 스크린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강조했다. 

삼성은 이를 바탕으로 TV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삼성 생태계와의 연결성을 강화해 단순히 다양한 컨텐츠를 시청하는 기기를 넘어 개개인의 라이프스타일에 최적화된 기기로 진화시켰다. 

TV에 등록된 계정별로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해준다. 각 가족 구성원은 별도의 프로필을 설정해 더 개인화된 경험을 즐길 수 있다. 가정 내 스크린의 역할이 보다 중요해짐에 따라 ‘삼성 녹스’(Samsung Knox)로 업계 최고 수준의 보안 성능도 갖췄다.

올해 첫 선을 보이는 ‘삼성 데일리 플러스’(Samsung Daily+)는 개인 트레이닝부터 원격의료, 원격 PC 제어, 화상 통화 등의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를 단일 인터페이스로 제공하며 홈 허브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는 이와 함께 76형부터 140형까지 마이크로 발광다이오드(LED) 라인업을 전시하는 한편, 세계 최초로 투명 마이크로 LED를 공개했다. 투명 마이크로 LED는 기존 투명 디스플레이의 한계를 극복한 차별화된 가치를 전달할 전망이다. 

아울러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라인업도 확대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2024년형 삼성 OLED는 눈부심 방지 기술(OLED Glare Free)이 적용돼 색상의 정확도와 선명도는 유지하고 빛 반사를 줄여 한낮에도 몰입감 있는 시청 경험을 제공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