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별적 특징 전면에 띄워… 고객경험 대전환 포부
AI 기반 각 사업별 혁신기술·중장기 전략 등 소개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LG전자가 CES 2024 개막을 하루 앞둔 현지시간으로 8일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호텔에서 ‘고객의 미래를 재정의하다'(Reinvent your future)를 주제로 LG 월드 프리미어(LG WORLD PREMIERE)를 개최했다.
행사에는 글로벌 미디어, 업계 관계자, 관람객 등 1000여명이 참석했으며, 온라인으로 생중계됐다.
참석자들은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 기업’으로 변화하는 LG전자가 여러 사업 영역에서 인공지능(AI)과 미래 기술을 기반으로 선보인 차별적 고객가치에 큰 호응을 보냈다.
조주완 LG전자 최고경영자(CEO) 사장은 “AI는 고객경험을 완전히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끌어올리기 위한 가장 필수적인 요소 중 하나”라며 “우리의 초점은 AI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변화를 일으켜 고객에게 실질적인 이점을 제공하는지에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AI가 사용자를 더 배려하고 공감해 보다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한다는 의미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공감지능’(Affectionate Intelligence)으로 재정의했다”고 강조했다.
조 사장은 공감지능의 차별적 특징으로 ▲실시간 생활 지능(Real-Time Life Intelligence) ▲조율·지휘지능(Orchestrated Intelligence) ▲책임지능(Responsible Intelligence)을 꼽았다.
또한 그는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집, 모빌리티, 상업공간 등에서 약 7억개의 LG 제품이 사용되고 있다”며 “여기엔 AI 지원 지능형센서가 탑재돼 고객들의 신체적·정서적 생활패턴을 학습하고 분석하는 데 최적”이라고 소개했다.
특히 “대다수 기업들은 인터넷 기반 데이터에 의존하는 반면 LG전자는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되는 수십억 개의 스마트 제품 및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통해 수집한 실시간 생활 데이터(Real-Time Life Data)를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LG전자의 생활 데이터는 기기 간 상호작용을 넘어 고객의 주변환경, 행동패턴, 목소리톤, 대화뉘앙스, 얼굴 표정과 같은 감정 상태까지 포함될 수 있다.
조 사장은 이와 관련 “많은 기업에서 쉽게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자산이자 분명한 차별점”이라고 말했다.
그는 두번째 차별점으로 ‘LG AI 브레인’(LG AI Brain)을 언급했다. 조 사장은 “우리가 개발 중인 ‘LG AI 브레인’은 조율화 프로세스를 갖춘 강력한 AI 엔진”이라며 “상호 연결된 기기들을 물리적으로 조화롭게 조율해 최적화된 작동방식을 유도하는 솔루션을 생성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LG AI 브레인은 대화내용, 행동패턴, 감정 등의 맥락을 이해해 고객의 요구를 예측하고 자체 개발한 초거대언어모델(LLM) 기반의 고급 추론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방식”이라며 “우리는 이를 ‘조율·지휘지능’(Orchestrated Intelligence)이라 부른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조 사장은 공감지능에 있어 LG전자의 책임감을 강조하면서 “자체 데이터 보안시스템인 ‘LG 쉴드’(LG Shield)를 고객 데이터의 수집·저장·활용 등 전 과정에 적용함으로써 모든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것”이라고 했다.
끝으로 그는 “AI 기술을 최대로 누리기 위해선 각 사용자가 AI를 적절하게 컨트롤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LG전자 브랜드철학 ‘라이프스굿’(Life’s Good)은 AI 시대에 사람이 중심이 되는, 고객을 위한 더 나은 삶 만들겠다는 우리의 약속”이라며 발표를 마무리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조 사장에 이어 정기현 플랫폼사업센터장, 은석현 VS사업본부장 등이 차례로 무대에 올라 LG전자 AI 기반의 혁신기술과 중장기 전략을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다.
정기현 LG전자 플랫폼사업센터장은 AI 기반의 미래 스마트홈 청사진을 내놨다. 그는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에 공감지능 기술을 담아 진정한 스마트 라이프 솔루션으로 진화시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고객과 자연스러운 대화가 가능한 생성형 AI 챗봇 ‘ChatThinQ’을 비롯한 공간을 직관적인 방법으로 통합 제어하기 위해 집 구조를 3D로 시각화한 ‘3D Home View’ 등 혁신 서비스 공개와 함께 새로운 스마트홈 허브의 출시 계획도 구체화했다.
은석현 LG전자 VS사업본부장은 “자동차를 SDV(Software Defined Vehicle,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 솔루션으로 구동되는 ‘바퀴 달린 생활공간’(Living space on wheels)으로 구상하고 있다”며 SDV 솔루션인 ‘LG 알파웨어’(LG αWare)를 전면에 내세웠다.
LG 알파웨어는 기존 차량의 운영체제(OS) 성능을 강화하거나 새로운 플랫폼을 구축하는 다용도 소프트웨어 모듈, 신규 소프트웨어의 기술검증은 물론 배포까지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서 개발자를 돕는다.
고화질·고음질 콘텐츠 경험을 제공하는 차량용 엔터테인먼트 솔루션, AR·MR, AI 기술을 활용해 몰입감 있는 차량 내 경험을 제공하는 휴먼-머신 인터페이스 솔루션(Human-Machine Interface solution) 등을 포함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