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반 다양한 신제품 선봬, 새로운 사용자 경험 중점 부각
한종희 부회장 "일상에서 누구나 AI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삼성전자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8일(현지시간) 프레스 컨퍼런스를 열고 ‘모두를 위한 AI: 일상 속 똑똑한 초연결 경험’(AI for All: Connectivity in the Age of AI)를 위한 비전을 제시했다. 

글로벌 미디어와 파트너 1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 행사에서는 ▲인공지능(AI) 시대에 걸맞은 강력한 보안과 책임의식 ▲AI 기반의 다양한 신제품 ▲새로운 차원의 사용자 경험 등 초연결 시대와 지속가능성을 선도하는 삼성전자의 AI 전략이 소개됐다.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열린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관련 핵심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한종희 삼성전자 부회장이 8일(현지시간) 미국 세계 최대 전자 전시회 'CES 2024' 개막에 앞서 열린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인공지능(AI) 관련 핵심 전략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AI 시대, 사용자 보안이 최우선” 새 기준 정립

무엇보다 삼성전자는 AI 시대를 맞아 사용자의 보안이 항상 최우선 과제라며, 초연결 시대에 적합한 통합적 보안 솔루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10년 전 모바일 보안 플랫폼으로 탄생한 삼성 녹스를 기반으로 더 정교해진 삼성 녹스 매트릭스와 삼성 녹스 볼트의 서비스를 공개했다.

삼성 녹스 매트릭스는 상호 모니터링해 문제가 된 장치를 분리해 다른 기기들의 보안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올해 중 삼성전자 TV와 패밀리 허브 냉장고까지 확대될 예정이다.

갤럭시 A시리즈까지 확대된 삼성 녹스 볼트는 핀코드·비밀번호·패턴과 같은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보호해준다. 특히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파트너와 취약점을 연구하고 위협에 선제 대응하는 등 프라이버시에 대한 새로운 표준을 만들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삼성전자는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위해 제품에 순환자원 확대 사용뿐 아니라 새로운 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2022년 제품에 사용된 총 플라스틱 중 약 14%에 재생 레진을 적용했다. 이 비중을 늘리기 위한 연구를 지속 수행 중이다.

테슬라와 새로운 협력을 통해선 전기차, 태양광 패널, 가정용 배터리 ‘파워월’(Powerwall) 등과 스마트싱스를 연동할 수 있다. 실제 집 안의 전기 사용량을 자동으로 줄여주는 스마트싱스의 ‘AI 절약 모드’를 사용하면 배터리 전력량을 최대한 확보해 정전 대비도 가능하다. 

폭우나 폭설 등 악천후 시 미리 경보를 보내주는 테슬라의 '스톰 워치'(Storm Watch) 알림을 삼성전자 스마트 TV를 통해서도 받아볼 수 있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Samsung First Look 2024)'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사장)이 7일(현지시간) 진행된 '삼성 퍼스트 룩 2024(Samsung First Look 2024)'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AI 기반 신제품, 차별화로 최고의 고객 경험·가치 창출

삼성전자는 이외에도 AI 기능들이 탑재된 ▲TV ▲가전 ▲모바일 신제품들을 통해 최고의 고객 경험과 가치 창출할 계획이다. 

전날 퍼스트룩 행사에서는 ▲마이크로 LED의 차세대 기술 '투명 Micro LED' ▲프로젝터 최초 8K 무선 연결을 지원하고 최대 150인치까지 투사 가능한 '더 프리미어 8K' ▲어떤 인테리어에도 잘 어울리는 커스터마이징 스피커 '뮤직 프레임' 등도 공개됐다. 

삼성전자는 한층 업그레이드된 AI 기능을 기반으로 연결성을 강화한 생활가전 신제품도 선보였다. 

냉장고 전면부에 32형 와이드 스크린을 탑재한 2024년형 '비스포크 냉장고 패밀리허브 플러스',  7형 LCD 스크린이 탑재된 인덕션 신제품 '애니플레이스',  'AI 맞춤' 코스가 탑재된 '비스포크 AI 콤보' 등이 대표적이다. 

아울러 삼성전자는 뛰어난 휴대성을 갖추면서도 새로운 AI 기능들과 강화된 보안 시스템, 선명한 터치 디스플레이를 갖춘 '갤럭시 북4' 시리즈, 자회사인 하만은 전장 시장에서 차별화된 서비스를 각각 선보여 참석자들에 많은 관심을 받았다.  

삼성전자는 AI를 통한 스마트싱스와 빅스비 역시 자동화 돼 고객을 잘 이해하고 알아서 맞춰 주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진정한 스마트 홈 구현을 위한 기술과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실제 집안의 다양한 빅스비 호환 기기 중 가장 적합한 기기가 명령에 반응하는 '빅스비 음성 호출 경험 개선'과 음성 명령으로 실행할 수 있는 기기별 기능을 정리한 '빅스비 명령 수행 경험 개선'을 통해 최적의 기기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삼성전자는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맺은 ‘홈투카(Home-to-Car)·카투홈(Car-to-Home) 서비스’ 제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는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현대자동차그룹과 맺은 ‘홈투카(Home-to-Car)·카투홈(Car-to-Home) 서비스’ 제휴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사진=삼성전자 제공

◆현대차와 파트너십, 스마트싱스 영역 확장 나서

삼성전자는 현대자동차그룹과 스마트싱스 플랫폼 연동을 통해 주거공간과 이동공간의 연결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도 부각하면서 양사의 ‘홈투카(Home-to-Car)·카투홈(Car-to-Home) 서비스’ 제휴 파트너십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고객들은 스마트싱스 플랫폼에 연동되는 현대차그룹의 소프트웨어 디파인드 자동차(Hyundai’s Software Defined Vehicle)를 통해 추운 아침에 집에서 원격으로 자동차 시동을 켜 히터를 미리 작동시키는 등 운전자들의 편리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제네시스 커넥티드 카 고객도 차 안에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또는 음성으로 스마트싱스 플랫폼에 연동되는 집안의 기기들을 원격으로 제어해 더운 날 미리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을 켜 실내환경을 쾌적하게 조성할 수 있다.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기술을 넘어 산업계 전반을 재구성하고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할 AI를 구현하고자 10년 넘게 투자해왔다”며 “앞으로도 누구나 쉽고 안전하게 일상에서 AI를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