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7개월간 부정승차에 따른 징수금액 28억8700만원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증가세… 무임승차·표분실 대부분

아침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아침 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들이 발길을 재촉하고 있다. 사진=서울와이어 DB

[서울와이어 고정빈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이후 수도권 전철 등의 이용객이 늘면서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의 광역철도 부정 승차 적발 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코레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 7월까지 4년7개월간 광역철도에서 단속된 부정 승차 건수는 총 148만9000여건이다. 이에 따른 부가운임 징수 금액은 28억8700만원으로 집계됐다.

코레일이 운영하는 광역철도는 수도권에서 운행하는 서울 지하철 1호선 일부 구간을 포함해 수인분당선과 경의중앙선, 부산과 울산을 잇는 동해선 등 15개 노선이다. 광역철도 부정 승차 건수는 코로나19 당시였던 2020년 20만2000건, 2021년 21만7000건에 불과했으나 2022년 28만6000건, 지난해 32만9000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부정승차는 7월까지 45만3000건에 달한다. 부정 승차에 따른 부가 운임 징수액도 2020년 4억600만원, 2021년 4억200만원에서 2022년 5억8900만원, 지난해 6억1100만원으로 올랐다. 올 7월까지 8억7900만원에 달한다. 유형별로 보면 표를 구매하지 않고 열차에 탔거나, 표를 분실한 경우가 총 99.2%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경로 및 장애인 무임승차권을 부정 사용한 경우가 3142건, 어린이·청소년 교통카드를 부정 사용한 경우가 2537건 있었다. 2020년부터 올 7월 사이 광역철도 부정 승차로 가장 많은 부가 운임을 낸 승객은 지난해 3월 경기도의 한 역에서 장애인 승차권을 쓰다 적발돼 1000만원을 지불했다.

또 2022년 6월 어린이·청소년 카드를 부정 사용한 승객이 971만원, 올 3월 장애인 승차권을 부정 사용한 승객이 800만원을 지불한 사례도 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