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각대금 당초 예상보다 2천억원 가량 많아
확보한 실탄으로 OLED 투자 늘릴 전망

LG디스플레이 중국 광저우 LCD 공장. 사진=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 중국 광저우 LCD 공장. 사진=LG디스플레이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LG디스플레이가 중국 최대 가전업체 TCL에 매각한 광저우 액정표시장치(LCD) 공장의 매각대금이 당초 예상보다 높은 2조2000억원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올해 안에 대금을 받아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투자를 늘려 사업 고도화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11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광저우 8.5세대 LCD 공장의 최종 매각대금은 2조2466억원으로 결정됐다.

앞서 LG디스플레이는 지난해 9월 광저우 대형 LCD 패널 및 모듈 공장 지분을 TCL의 디스플레이 자회사 CSOT(차이나스타에)에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당시 예상 매각 대금은 2조256억원이었는데 이보다 2000억원 이상 규모가 커졌다.

이 배경에는 지난해 광저우 공장이 실적 호조를 보인 점과 전날 기준 위안(CNH)-원 환율이 계약 당시와 비교해 상승(187.56원→200.82원)해 최종 매각대금 정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 부사장)는 지난달 열린 주주총회에서 "2024년 사업 결과가 (최종 매각 대금에) 반영될 것"이라며 "2월까지 정산한 내용을 보면 매각대금이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확한 금액 산출은 4월 초는 돼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번 매각대금 결정과 이달 초 CSOT로 광저우 공장 공식 이전 등 인수 작업이 완전히 마무리되면서 LG디스플레이는 대형 LCD 사업을 전면 종료하게 됐다.

TCL은 지난 1일부터 광저우 공장의 이름을 'T11'로 변경하고 본격적인 생산라인 가동에 돌입했다. 

이번 공장 매각대금은 올해 안에 LG디스플레이에 납입이 완료될 것으로 알려졌다. LG디스플레이는 확보한 자금을 통해 OLED 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시설투자, 연구개발, 운영비 등에 활용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