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와이어 박동인 기자] 금융감독원은 조직적·지능화되는 보험사기에 대응하기 위해 전국 18개 시·도 경찰청과 ‘보험범죄 수사협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15일 금감원에 따르면 이번 협의회는 경찰청 본청 및 각 지방청과 생명보험협회, 손해보험협회, 국민건강보험공단, 근로복지공단 등 주요 유관기관이 참석한다.
금감원과 경찰은 최근 늘어나고 있는 병·의원 연계형 조직사기와 보험사기 사례 등 최신 수법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시·도 경찰청별로 지역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수사지원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허위 입원이나 조작된 진료기록을 통한 보험청구가 급증함에 따라 의료차트 분석 기법과 보험상품 구조 이해, 교통사고 데이터 판별 방법 등의 실무 교육 방안도 논의된다.
또한 금감원이 자체 조사 후 수사 의뢰한 사건들의 진행 상황을 공유하고 경찰이 신속한 수사를 펼칠 수 있도록 채증자료 제공 방식과 관련한 정보 연계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최근 개정된 보험사기방지특별법에 따라 금감원이 경찰 등 유관기관에 자료를 요청할 수 있는 법적 권한을 갖게 된 만큼, 현장 수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공유 핫라인 활성화 방안 역시 추진된다.
이번 협의회는 경찰청의 특별단속과 연계해 두 달간 전국적으로 벌어질 보험범죄 대응의 중심축 역할을 하게될 전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수사협의회 논의사항은 경찰청 및 유관기관별 해당 업무에 적극 반영할 예정"이라며 "금융감독원 및 생·손보협회 등은 앞으로도 보험사기에 대해서는 예외없이 엄단할 수 있도록 경찰의 수사를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