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원전, 당장 추진은 아냐...기존 원전은 보조 역할"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24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면서 취재진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재생에너지 확대와 탈탄소 사회로의 전환에 대한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특히 그는 기존 원전의 경우 즉각 중단하기보다는 보조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겠다는 현실론도 함께 제시했다.

김 후보자는 24일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단 사무실로 첫 출근하며 “지금은 탄소 문명에서 탈탄소 문명으로 전환해야 하는 문명사적 전환기”라며 “모든 에너지 체계를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화석연료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로 만든 전기를 일상 전반에 활용해야 한다”며 “환경부, 나아가 기후에너지부가 기업들이 새로운 에너지에 기반해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자는 최근 몇 년간 재생에너지 비중이 정체 또는 후퇴했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이 흐름을 얼마나 빠르게 되돌릴 수 있는지가 향후 에너지 정책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탈원전 정책과 관련해 김 후보자는 “당장 추진할 사안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어 “재생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삼고 기존 원전을 보조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면서 속도감 있게 탈탄소 정책을 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정치권 안팎에서 논의 중인 기후에너지부 신설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다만 그는 “대통령실과 국정기획위원회, 국회, 전문가들과 논의해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 조직 개편의 큰 방향을 마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 중 하나인 ‘4대강 보 해체’에 대해서는 다소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김 후보자는 이와 관련 “원칙적으로는 물은 흘러야 한다. 물을 가두면 썩는다”면서도 “해당 수역이 음용수나 농업용수 등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있어, 실질적 기능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김 후보자는 더불어민주당 3선 의원 출신으로 당내에서 재생에너지 확대와 기후위기 대응을 주도해 온 인물이다. 이번 장관 지명은 정부의 에너지 전환 및 기후 정책 강화 기조와도 맞닿아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