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위·예결위 두고 원구성 줄다리기
추경안 처리도 교착 상태 지속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양당 오찬 회동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왼쪽)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26일 서울 여의도 한 식당에서 열린 양당 오찬 회동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서울와이어 정현호 기자] 여야가 26일 상임위원장 재배분과 추경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 일정 조율을 시도했지만 합의에 실패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여의도 인근 식당에서 1시간여 오찬 회동을 갖고 원 구성과 본회의 일정에 대해 논의했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회동에는 양당 원내수석부대표인 문진석(민주당), 유상범(국민의힘) 의원도 배석했다. 이 자리에서 법제사법위원회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주요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놓고 기존 입장차만 확인한 채 협상은 결렬됐다.

민주당은 "추경 처리를 위해 6월 임시국회 내 반드시 본회의를 열어야 한다"고 촉구했으며, 국민의힘은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야당에 넘겨야 의회 견제가 가능하다"며 맞섰다.

현재 공석인 상임위는 ▲법제사법위원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기획재정위원회 ▲운영위원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등 5곳이다. 특히 법사위원장과 예결위원장을 놓고 여야가 가장 강하게 충돌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제1야당으로서 법사위원장 자리를 요구하고 있지만 민주당은 "22대 국회 전반기 2년간은 기존 구성 유지가 원칙"이라며 거부 입장을 고수 중이다. 

민주당은 협상이 최종 결렬될 경우 27일 본회의를 단독으로 열어 공석 상임위원장을 선출하겠다는 방침이다. 문진석 수석부대표는 “합의가 어려우면 예결위원장을 비롯한 일부 상임위 위원장을 일괄 선임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다만 기획재정위원장은 송언석 원내대표가 맡았던 자리로 국민의힘 내부 논의가 필요해 선임 대상에서 제외될 가능성도 있다.

국민의힘은 민주당이 단독 본회의를 강행할 경우 저지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유상범 수석부대표는 “민주당이 일방 처리하면 대응 수위를 원내지도부 및 의원총회에서 논의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회동에서는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 경과보고서 채택 문제도 함께 논의됐지만 성과는 없었다. 국민의힘은 여전히 "핵심 자료가 제출되지 않았다"며 지명 철회를 주장하고 있다.

한편 여야는 이달 말 종료 예정인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특별위원회'의 활동 기한은 연장하기로 뜻을 모았다. 다만 원 구성과 추경, 총리 인준 등 국회 핵심 현안은 여전히 접점을 찾지 못한 채 교착 상태에 빠졌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