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역대급 실적 거두자, 성과급 두고 노사갈등 불거져

SK하이닉스 팹. 사진=SK하이닉스
SK하이닉스 팹. 사진=SK하이닉스

[서울와이어 천성윤 기자] SK하이닉스가 성과급 지급을 두고 노사 간 이견이 발생하자 최대 성과급 지급률 기준을 대폭 상향하는 안을 노조에 제시했다.

또 성과급 지급 후 남는 재원은 구성원들에게 적금·연금 방식으로 돌려준다는 방안도 제안하며 원만한 노사 임단협을 위한 준비에 돌입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노사는 전날 청주캠퍼스에서 열린 ‘2025년 8차 임금교섭’에서 이러한 내용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SK하이닉스의 성과급(PS)은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회사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다.

사측은 기존 1000%까지 지급되던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로 상향하고, 1700%를 지급하고도 남은 재원 중 50%를 적금이나 연금 등의 방식으로 직원에게 돌려준다는 방안을 제시했다. 나머지 50%는 투자 등에 쓴다는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영업이익 23조4673억원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하며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한 바 있다.

하지만 노조와 구성원들은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해 갈등이 불거졌다.

사측은 전임직·기술 사무직 노조와 해당 제시안을 바탕으로 임금 교섭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