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부산상의에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부산상공회의소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이 14일 부산상의에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 결과를 설명하고 있다. 사진=부산상공회의소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국내 최대 해운사 HMM이 부산으로 본사를 옮길 경우 부산이 글로벌 해운물류 중심지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14일 부산상공회의소가 발표한 ‘HMM 본사 유치 경제효과 및 유치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HMM이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고 앞으로 5년간 영업이익의 20%를 재투자할 경우 전국적으로 약 11조2000억원 규모의 생산유발효과와 4조4000억원의 부가가치 창출, 2만1000여명의 고용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최근 4년간 평균 영업이익을 바탕으로 산출된 수치다.

부산 지역에만 한정할 경우 생산유발효과는 약 7조6000억원, 부가가치는 2조9000억원, 고용은 약 1만6000명 증가할 전망이다.

보고서에는 HMM 본사 이전이 가져올 비계량적 효과도 강조됐다. ▲연관 산업 및 해운 클러스터 활성화 ▲고급 인재 유입과 일자리 창출 ▲글로벌 해운물류 혁신 거점으로서 부산의 브랜드 가치 상승 ▲해양산업 인프라 확충 및 혁신 생태계 조성 ▲국가 균형발전 촉진 등 부산 전반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HMM이 부산에 새로 짓게 될 본사 사옥 건설도 단기적 경제효과를 높일 것으로 분석됐다. 50층 규모의 인텔리전트 빌딩이 들어설 경우 건설 과정에서만 1조3000억원의 생산유발효과와 5179억원의 부가가치, 4570명의 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추정됐다.

부산상의는 싱가포르, 로테르담, 상하이 등 해운강국들의 사례를 들어 HMM 유치를 뒷받침할 제도적 지원책 마련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해운도시 조성 및 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통해 부산을 해운항만 중심 도시로 육성할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정부와 기업, 부산시, 지역 정치권 등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는 ‘HMM 부산 유치 추진단’을 구성해 유치 활동을 체계적으로 전개해야 한다는 제안도 내놨다.

양재생 부산상의 회장은 “세계 10대 해운사 중 7곳이 해양도시에 본사를 두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글로벌 8위 HMM의 부산 이전은 국내 해운산업 판도를 바꿀 수 있는 대형 이슈”라며 “부산이 세계적 해운물류 도시로 도약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