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광산업이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제출해 트러스톤자산운용을 조사해달라고 했다. 사진=태광산업 홈페이지
태광산업이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제출해 트러스톤자산운용을 조사해달라고 했다. 사진=태광산업 홈페이지

[서울와이어=이민섭 기자] 태광산업은 28일 고가의 공개매수를 압박하고 블록딜 공시 전 지분을 대거 매도한 트러스톤자산운용을 조사해 달라며 금융감독원에 진정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태광산업은 트러스톤이 지난 2월과 3월 주주서한을 통해 태광산업의 주요 자산을 매각하고 주당 200만원에 18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할 것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트러스톤이 처음 주주서한을 보낸 지난 2월3일 태광산업 주가는 62만1000원이었고 트러스톤이 요구한 공개매수 가격은 시가의 3배 이상이었다.

태광산업은 법무법인 검토를 거친 후 트러스톤의 제안을 거부했다. 고가의 공개매수는 주가를 일시적으로 급등시킨 뒤 급락을 초래할 가능성이 높고, 시장질서 교란행위나 주가조작 혐의로 금융당국 조사와 검찰 수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태광산업은 고가의 자사주 공개매수를 실시하면 상장폐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해 트러스톤 요구를 거절했다고 밝혔다. 공개매수 이후 유통 주식수가 줄어들면 거래량 감소가 불가피하고, 관리종목 지정을 거쳐 상장폐지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

지난 2월3일 기준 트러스톤의 태광산업 주식 보유량은 6만7669주였다. 주가가 200만원이 되면 트러스톤 지분의 평가액은 420억원에서 1353억원으로 933억원이 증가한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트러스톤은 자본이득과 성과보수를 챙기기 위해 이사들에게 범죄 행위를 종용한 것"이라며 "공인된 자산운용사가 상장회사 이사회를 협박하는 행태를 용납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태광산업은 트러스톤이 블록딜에 앞서 주식시장에서 보유 주식을 처분한 데 대해서도 의혹을 제기했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트러스톤이 2021년 태광산업 주식을 사모은 뒤 장내에서 지속적으로 대량 처분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블록딜을 앞두고 주가하락을 예상해 미리 처분했다는 의심을 받기에 충분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와이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