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비 감축·공동 운영 중심… 기업 고통 분담 전제

[서울와이어=최찬우 기자] 중국발 공급과잉과 세계 수요 둔화로 존폐 위기에 몰린 국내 석유화학산업에 대한 정부 대책이 곧 발표된다.
19일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20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산경장)를 열고 ‘석유화학 구조개편 방안’을 확정한다. 이 회의는 이재명 정부 들어 처음 개최되는 산경장으로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등 관계 부처 장관들이 모두 참석한다.
이번 대책은 울산·여수·대산 등 주요 석유화학 단지 내 나프타분해시설(NCC)의 과잉 설비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다.
정부는 기업 간 설비 통폐합 및 감축을 추진하는 한편 정유사와 석유화학사의 수직 통합, 복수 기업이 핵심 설비를 공동 운영하는 일본식 유한책임사업조합(LLP) 모델 도입을 검토 중이다. LLP는 여러 기업이 공동 출자해 생산설비를 함께 운영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이고 중복 투자를 줄이는 구조조정 수단이다.
참여 기업에는 세제 혜택과 금융 지원이 제공되는 방안도 논의된다. 특히 일부 기업의 구체적인 구조조정 계획이 이번 개편안에 직접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석유화학은 우리가 강점을 가진 산업으로, 포기해서는 안 된다”며 고강도 구조조정을 지시한 바 있다. 이어 “사업 재편과 설비 조정을 신속히 추진하되 정부와 기업이 함께 책임감을 가지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찬우 기자
ccw@seoulwire.com
